경제전문가, 경제 조기 회복론에 ‘부정적’

우리 경제의 조기 회복론에 대해 경제전문가들은 대부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민간·국책연구소의 임원급 경제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18명(90.0%)은 우리 경제의 조기 회복론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 주요 대기업의 1분기 경영성과(영업이익 등)가 예상보다 좋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 17명은 고환율 및 기저효과(94.4%)를 꼽았다. 그 외에 1명은 기업의 생산비 및 경비 절감 노력(5.6%)으로 응답했다. 또, ‘기업 매출 증가’, ‘비가격 경쟁력 제고’, ‘정부 정책 효과’를 선택한 응답자는 없었다.

향후 경제에 대해서는 세계 경제나 한국 경제 모두 낙관적인 전망보다 비관적인 전망이 우세했다. 특히, 금융부문보다 실물경제를 어둡게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시장은 다소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으나, 실물경제 침체는 여전히 지속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됐다. 단, 전문가들은 세계경제에 비해 우리 경제를 덜 비관적으로 내다봤다.

이번 조사 결과, 우리 경제성장률은 올해 -2.4%, 내년 2.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에 발표한 한국개발연구원의 전망치와 비교하면 올해 전망치(KDI -2.3%)는 비슷한 수준이나, 내년 전망치(KDI 3.7%)는 1.4%P나 차이를 보였다.

올해 연말 코스피 수준에 대해서는 ‘1400~1500’으로 전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40.0%), 부동산은 연말까지 일부 지역에 제한된 가격상승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 가장 많았다(68.4%). 반면, 전반적인 부동산 가격상승을 선택한 응답자는 없었다.

재정·통화정책은 현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경제전문가들은 향후 정부가 재정 지출의 집행 속도를 현 수준으로 유지(55.0%)하거나 지금보다 더 빠르게 해야 한다(30.0%)고 응답했으며, 시중 유동성과 관련해서는 정부와 한국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현 수준으로 유지(40.0%)하거나, 유동성 공급 확대 폭을 완화해야 한다(35.0%)고 답했다.

이밖에 국회에서 시급히 처리되어야 할 법안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노사관련 법안(50.0%), 한미FTA 비준(22.2%), 감세법안(11.1%) 등의 순으로 지적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