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의 조기 회복론에 대해 경제전문가들은 대부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민간·국책연구소 임원급 경제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18명(90.0%)은 우리 경제의 조기 회복론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주요 대기업의 1분기 경영성과(영업이익 등)가 예상보다 좋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 17명은 고환율 및 기저효과(94.4%)를 꼽았다. 그 외 1명은 기업의 생산비 및 경비 절감 노력(5.6%)으로 응답했다. 또, ‘기업 매출 증가’, ‘비가격 경쟁력 제고’, ‘정부 정책 효과’를 선택한 응답자는 없었다.
향후 경제에 대해서는 세계 경제나 한국 경제 모두 낙관적인 전망보다 비관적 전망이 우세했다. 특히 금융보다는 실물경제 전망이 더 비관적이었다. 금융시장은 다소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으나, 실물경제 침체는 여전히 지속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됐다. 단, 전문가들은 세계경제에 비해 우리 경제를 덜 비관적으로 내다봤다.
이번 조사 결과, 경제성장률은 올해 -2.4%, 내년 2.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에 발표한 한국개발연구원의 전망치와 비교하면 올해 전망치(KDI -2.3%)는 비슷한 수준이나, 내년 전망치(KDI 3.7%)는 1.4%P나 차이를 보였다.
올해 연말 코스피 수준에 대해서는 ‘1400∼1500’으로 전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40.0%), 부동산은 연말까지 일부 지역에 제한된 가격 상승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 가장 많았다(68.4%). 반면, 전반적인 부동산 가격상승을 선택한 응답자는 없었다.
재정·통화정책은 현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경제전문가들은 향후 정부가 재정 지출의 집행 속도를 현 수준으로 유지(55.0%)하거나 지금보다 더 빠르게 해야 한다(30.0%)고 응답했으며, 시중 유동성과 관련해서는 정부와 한국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현 수준으로 유지(40.0%)하거나, 유동성 공급 확대 폭을 완화해야 한다(35.0%)고 답했다.
이밖에 국회에서 시급히 처리되어야 할 법안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노사관련 법안(50.0%), 한미FTA 비준(22.2%), 감세법안(11.1%) 등의 순으로 지적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