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건설산업 선진화를 위한 해외건설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국내 건설업계가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를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세계 주요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우리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공략해 수주한다면 국내 건설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중국이 경기부양 조치 관련 예산의 95% 수준인 5568억달러를 인프라 및 건설 투자에 책정했고 미국이 611억달러를 건설부문에 배정하는 등 발주 물량이 커지고 있어 국내 업체들이 해외 매출을 늘릴 기회가 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현재 국내 건설업체들의 해외시장 공략은 다소 부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건설전문지인 ENR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한국 건설업체들의 총 매출 순위는 6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해외 매출 순위는 13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국내 건설업체들이 해외건설 비중을 ENR 225개 회사 평균 수준인 48.1% 수준 정도로 끌어올린다면 해외건설 매출은 현재의 80억달러 수준에서 208억달러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규모는 지난해 국내 자동차 수출액 절반에 해당한다.
또, 보고서는 “최근 원유가격이 하락하면서 올 들어 최근까지 중동지역 수주가 작년 대비 39억5000만달러나 감소하고 있어 국내 건설사들이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올해 1월부터 이달 20일까지 전체 해외 수주액이 112억2156만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에 비해 48.9% 감소한 상황임을 감안하면 지원 대책을 마련하는 게 시급하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상의는 해외건설 활성화를 위해 건설공제조합을 통한 해외건설 보증지원 확대와 한국형 신도시 소개 및 관련기업 진출 지원 강화, 해외건설 관련 고급 정보 확보 및 제공, 해외건설 투자펀드 조성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상의 관계자는 “주택보급률(100.7%)과 인구 정체 등 국내 건설 시장의 여건을 감안하면 해외건설 시장 개척이 건설업의 블루오션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