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석달째 흑자…4월 42억8000만달러

지난달 경상수지가 석 달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수입 감소폭이 수출 감소폭을 웃도는 불황형 흑자 현상이 지속된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경상흑자 규모는 환율 하락 등으로 소득수지와 서비스수지의 적자폭이 확대된 영향으로 전월보다 줄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4월 중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42억8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는 1월 16억4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2월 35억6천만달러 흑자로 전환된 뒤 석 달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올해 1~4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128억6천만달러에 달했다.

상품수지가 61억7천만달러 흑자를 기록, 전월(69억8천만달러)에 이어 큰 폭의 흑자를 나타내면서 경상흑자를 견인했다.

지난달 수출입 모두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감소했으며 수출 감소세는 3월의 17.8%에서 22.6%로 확대된 반면 수입 감소세는 35.8%에서 35.7%로 약간 축소됐다. 하지만 경상흑자 규모가 사상 최대치였던 전월보다는 23억7천만달러 감소했다.

경상흑자 규모가 전월보다 줄어든 것은 소득수지와 서비스수지의 적자폭이 확대된데 따른 것이다. 서비스수지는 환율 하락 여파로 여행수지가 2억5천만달러 적자를 나타내면서 3개월 만에 적자로 전환되고 운수수지의 흑자폭이 축소된 영향으로 적자폭이 전월의 6억5천만달러에서 11억1천만달러로 확대됐다.

소득수지는 대외배당금 지급이 늘어나면서 적자규모가 전월의 2억2천만달러보다 확대된 8억6천만달러를 기록했다.

경상이전수지는 송금 수입이 전월보다 줄고 지급은 늘어나면서 흑자규모가 전월의 5억3천만달러에서 8천만달러로 축소됐다.

지난달 자본수지는 전월의 27억1천만달러 유출초에서 25억4천만달러 유입초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1~4월 중 자본수지는 19억9천만달러 유입초를 나타냈다. 증권투자수지는 거주자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등 대규모 해외채권 발행과 외국인의 국내주식투자 확대에 따라 전월의 23억1천만달러 순유출에서 71억3천만달러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한은은 5월 경상수지가 30억달러 이상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이영복 국제수지팀장은 “5월에는 수출입 부문에도 환율 하락 효과가 나타나면서 수출 감소폭이 4월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신종플루 등으로 여행수지와 경상이전수지가 조금 더 적자 쪽으로 갈 수 있지만 4월 대외배당금 지급이 해소되면서 소득수지 흑자 요인이 있어 5월 경상수지는 30억달러 이상 흑자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