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통계조사의 대국민 신뢰성을 높이려고 안간힘을 쏟고 있다.
지난달 발표된 감사원 감사 결과 일부 통계항목에서 현장조사를 나가지도 않은 채 지방자치단체의 자료를 그대로 인용한 사례가 적발되는 등 현장 조사원의 근무태만이 문제화되기도 했다.
또 통계청이 발표하는 물가지수가 실제 ‘장바구니 물가’와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쏟아지자 최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까지 나서서 “현장조사원의 전문성 제고와 의식교육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일갈한 상태다.
통계청은 급한대로 오는 23일부터 본청 국장들이 5개 지방통계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허위조사시 중징계 방침을 경고하는 직원 정신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가칭 ‘현장조사점검팀’을 신설, 민간 조사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후 확인제도를 적극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현재 월간조사 대상자를 중심으로 3~5%를 무작위로 추출해 실제 현장조사가 이뤄졌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있지만 표본 추출 비율을 확대해 조사원의 복무기강을 다잡고, 허위 조사시 감사팀에 넘겨 징계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통계청은 조사원이 현장조사를 마친 후 상부에 보고하면 콜센터 요원이 조사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어 응답 감사인사와 함께 실제 조사여부를 확인하는 일종의 ‘해피콜’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이 경우 조사 대상자 전원을 상대로 조사가 이뤄졌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직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게 부담스런 대목이다.
통계청은 해피콜 제도 시행시 콜센터 요원을 50~100명 충원해야 하는데다 장비, 사무실 비용까지 포함할 때 연간 7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통계청은 물가지수가 체감물가와 괴리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내년 중 조사대상 품목을 변경함으로써 상당 부분 괴리를 좁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가조사의 경우 5년마다 조사 대상 품목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2005년에 조사대상 품목을 바꾼 이후 4년이 지나면서 그동안 일부 품목의 급격한 소비패턴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지만 내년에 품목을 조정하고 품목별 가중치를 재설정하면 현실과 좀더 가까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12일 “이달 안에 통계 신뢰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라며 “조사과정에서 단 하나의 실수도 있어선 안되겠지만 이를 바로잡기 위한 소요 비용도 만만치 않아 현실적 대안이 무엇인지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