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비즈벨트 `과학도시` 모델 본격 도입

한국 과학기술계에서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기초과학 부문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전략 아래 외국의 ’과학도시’ 모델이 본격 도입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을 위한 특별법(이하 국제과학비즈벨트 특별법)’이 이달 임시국회에서 통과되면 법 공포 3개월 이내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등을 거쳐 기본계획을 확정 짓고 부지 선정을 마무리 지을 방침이다.

미래의 ’국가 먹거리’ 창출을 내건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전체 부지 규모는 20만㎡(약 60만평)이며, 총 3조5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을 건립할 계획이다. 또한 대형 연구 및 분석장치인 중이온가속기 등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위한 첨단장비들도 갖춰진다. 국제과학비즈벨트 특별법은 지난 3월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 상정됐으나 아직 제대로 논의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지원단(단장 편경범)은 2일 과학비즈벨트 거점지구와 관련, “해외 유명 ’과학도시’를 모델로 삼아 기초과학을 육성,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른바 ’노벨상 사관학교’라 불리는 해외 유명 과학도시를 정책적으로 벤치마킹하겠다는 계획인 것이다.

과학비즈벨트 지원단 관계자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상대적으로 응용과 개발 부문에 치우친 측면이 있다”며 “과학비즈벨트의 중심이 될 거점지구는 기초과학 발전을 위한 과학도시를 지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거점지구는 기초과학 중심의 과학도시를 지향하되 기존의 과학기술 단지와 연계해 이른바 클러스터(cluster) 개념의 ’과학벨트’를 조성하겠다는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이라며 “기초과학 강국들은 오래전 과학도시를 세워놓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 정부의 과학기술 분야 핵심 대선공약이기도 한 과학비즈벨트 조성 사업은 지난해 3월 과학기술 분야 핵심 과제로 선정됐고 과학기술계의 의견수렴을 거쳐 올 1월 종합계획이 확정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