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하이닉스, 반도체 장비 교차구매 `정체`

 LCD 산업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가 패널 및 장비 교차구매를 통해 기업 간 상생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키고 있지만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하이닉스의 장비 교차구매는 여전히 정체 상태에 머물고 있다. 반도체산업협회 권오현 회장(삼성전자 사장)이 1년 전 ‘글로벌 장비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선 교차 구매가 필요하다’는 원칙만을 강조했을 뿐 양사는 이렇다 할 후속조치가 없는 상태다.

특히 장비 교차구매 협력의 대표성을 띤 세메스와 주성엔니지어링의 전 공정 장비에 대한 교차 구매는 요원한 상황이다. 하이닉스는 삼성전자 협력사(관계사)인 세메스의 장비를, 삼성전자는 하이닉스 협력사인 주성엔지니어링의 장비를 내부사정으로 구매하지 않고 있다. 세메스·주성엔니지어링 등 양사 입장에선 교차구매를 통한 ‘몸집 부풀리기’로 글로벌 상위권 진입은 요원한 상황이다.

또, 반도체 불경기도 한 몫하고 있다. 삼성·하이닉스가 증설 투자 보다는 공정기술 전환에 집중하다 보니 불요불급한 외산 장비만을 구매하고 있다. 반도체산업협회 관계자는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소자기업이 신규 투자를 중단, 장비교차 구매를 통한 국산장비 기업 육성의 목소리가 잦아들고 있다”고 말했다.

장비 업체 관계자는 “LCD 산업에 비해 반도체 산업은 생존을 위한 신기술 개발 경쟁이 격렬하다”며 “장비 교차 구매를 통해서 심혈을 기울여 개발한 새로운 공정기술이 경쟁 기업에 곧 바로 넘어가는 것을 우려, 양사의 국산 장비 교차 구매 사례가 매우 드물다”고 말했다.

하지만 삼성·하이닉스의 장비 교차 구매 관문이 굳게 닫힌 것은 아니다. 양사가 현재 정부의 반도체 장비 성능 평가 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있는 만큼 공동개발 장비는 삼성·하이닉스의 팹에 언제든지 동시에 들어 갈 수 있다. 단, 장비업체가 소자업체와 제품을 공동 개발하기까지 적지 않은 투자와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운영자금 지원·신속한 장비 평가 등 양사의 전폭적인 구매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하이닉스 관계자는 “전공정 장비 업체인 세메스는 삼성전자 관계사인 탓에 공정기술 유출 등의 이유로 기업 보안상 구매하기 어렵지만 삼성협력사인 세크론의 후공정 장비를 구매하는 등 대중소 상생협력 차원에서 장비 구매 정책을 오픈마인드로 바꿨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세메스가 삼성 관계사에서 벗어나면 장비 교차구매를 검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