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전소 사업자, 신규모델 발굴 나선다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사업자들이 단순 스캐닝과 문서 저장 사업에서 벗어나 신규 모델 발굴로 돌파구 마련에 나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공인전자문서보관소(공전소) 사업자들은 기존 법의 상충으로 고충을 겪고 있지만 일단 금융권과 물류 등을 중심으로 수요를 이끌어내는 쪽으로 전환하고 있다.

 금융권의 경우 종이문서가 없는 환경을 구현할 경우 물류 창고 비용은 물론 민원 창구 업무 비중도 대거 줄일 수 있다는 전망이다. 공전소 사업자로서도 법안 미비를 이유로 한해 대당 3억∼4억원에 달하는 고속 스캐너를 방치하고 수억∼수십억원에 달하는 유지비용만 쓸 수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일부 사업자는 공전소 설비 투자외에도 수십억원을 들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증권 분야 IT서비스를 담당하는 코스콤이 대표적인 곳. 코스콤은 공전소 사업자 인증을 앞두고 전자화문서관리(EDM) 시스템 도입을 결정했다.

 EDM은 기존 은행권이나 대형 증권사 등에선 이미 구축해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스캔 문서 등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다,

 코스콤 관계자는 “공전소 사업 외에 전자화문서관리(EDM) 시스템을 구축해 중소 증권사를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임대서비스(ASP)를 실시, 창구 업무의 효율성을 꾀하겠다”고 설명했다.

 LG CNS도 전 산업군에 걸쳐 여러 업무전문가들이 대거 포진한 장점을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문서의 스캐닝을 통한 보관소 판매에는 한계가 있다”며 “각 산업별 모델을 발굴해 금융권이나 제조업체 물류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차원에서 신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류업체의 경우 물품전달서에 고객 서명을 받아 보관하는 게 의무화 돼 있다. 이를 포함해 문서를 즉시 조회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택배 프로세스 개선을 수요기업에 제안해 추진 중이다.

 삼성SDS는 공전소를 ‘다큐브’란 브랜드로 명명했다.

 다큐브로 단순히 문서보관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넘어 업무개선을 이루는 보관소 활용 모델을 개발, 고객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사업 활성화를 위해선 공전소 사업자의 노력 외에도 법적 걸림돌을 찾아 이를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한 공전소 사업 관계자는 “전자거래기본법에 앞서는 상법과 민사소송법, 우편법 등에는 전자문서화를 가로막는 법들이 존재한다”며 “공전소 사업이 종이 없는 녹색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제도적 걸림돌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