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이 8일 인터넷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
7일 저녁 7시께부터 여러 컴퓨터를 이용해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통신량(트래픽)을 다량 투하하는 ‘디도스(DDoS)’ 공격으로 몇몇 사이트의 접속 지연,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는 것. 국내 일부 국가기관, 은행,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가 공격 대상인 것으로 파악됐다는 게 방통위 측 설명이다.
‘디도스’ 공격 출처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정보보호진흥원은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 장애를 유발하는 점에 비춰 지난 2003년에 일어난 ‘1·25 인터넷 대란’ 때와는 형태가 다르다고 분석했다.
정보보호진흥원은 누리꾼 컴퓨터(PC)가 ‘디도스’ 공격에 악용되지 않게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한 악성코드 점검, ‘윈도’ 최신 보안덧붙임(패치)을 할 것을 당부했다. ‘디도스’ 공격을 유발하는 악성 컴퓨터 프로그램인 ‘봇(BOT)’에 감염되지 않으려면 ‘윈도’ 갱신(업데이트)을 자주 실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방통위는 피해를 입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악성코드에 감염된 컴퓨터의 위치(IP)를 탐지해 차단하는 대응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피해가 확산할 우려가 있어 24시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