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불황기 R&D의 대안 `산학협력`

[현장에서] 불황기 R&D의 대안 `산학협력`

 많은 기업은 불경기에 연구개발(R&D)비를 투자라기보다 비용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R&D비를 비용으로만 인식하게 되면 불황기 다음이 더 큰 문제일 수 있다. 회복할 동력이 부족하거나 아예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체 R&D 예산과 시설이 부족하고 기술이 축적되지 못한 중소기업이 그러하다. 이러한 불황기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대학과 기업 간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이야기하고 싶다.

 대학은 자유로운 공간이다. 주어지는 목표치를 달성하기보다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한다. 단기적인 성과 위주의 기업 R&D에 비해 시간적 제약도 덜하다. 다시 말해 기업 R&D의 빈틈을 채워줄 수 있는 환경적·기술적 요소가 대학에 있다.

 정부도 2003년 기존의 ‘산업교육진흥법’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일명 산촉법)’로 개정해 산학협력 활성화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그러나 여러 가시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산학협력이 충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기술이전, 공동연구, 연구인력 교류 및 맞춤형 인재 양성 등과 같이 산학협력이 활성화된 대학은 유명 대학 또는 대기업 소유의 대학일 사례가 많고, 이 외 대학들의 산학협력은 단발적이거나 한시적인 때가 많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대학과 기업 간 신뢰 구축이다. 기업은 대학이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대학의 기술이전담당자들이 산업현장에서 수요기술을 발굴하고 기술이전을 마케팅하고 있으며, 사회적 수요를 고려한 학과와 연구실들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대학은 교육, 연구와 함께 ‘개발(development)’이 대학의 확대된 사회적 역할임을 상기해야 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연구에서는 학문적 자유가 보장돼야 하겠지만 거기에 따르는 개발은 사회적 문제해결이 전제되는 공익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불황기에 대학과 기업이 가진 구조적 한계가 만나면 아이러니컬하게도 새로운 가치와 가능성이 생긴다.

송병찬 한국연구재단 연구원 hahaha@kr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