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19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에너지 수요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에너지 총수요는 지난해보다 0.8% 감소한 2억3780만TOE(석유환산톤)으로 분석됐다. 이는 마이너스 경제성장이 예상되는 전반적 경기침체에 따른 것이다.
초고유가 행진을 이어간 지난해에도 에너지 총수요는 2007년보다 1.4% 증가했다. 1998년 에너지 총소비 감소율은 8.1%였다. 그러나 연구원은 경기회복 추세 등을 감안할 때 내년 에너지 총수요는 반등, 4.8%의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에너지원별로는 석탄 수요만 1억790만톤으로 작년보다 3.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고 대부분 나머지는 수요가 줄 것으로 예측됐다. 석유 수요는 지난해보다 0.7% 줄어든 7억7670만 배럴로 예상되며 LNG도 13.1% 감소한 2690만톤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됐다. 원자력과 수력 수요도 각각 2.3%, 2.2% 줄어들 전망이다.
최종에너지 수요 비중을 보면 석유가 41.9%로 낮아지는 추세를 이어가며 LNG 13.0%, 원자력 13.3% 등의 비중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연구원은 2008∼2013년의 총에너지 수요는 연평균 2.8%의 증가율을 보여 2013년에는 2008년보다 14.6%가 증가한 2억7480만TOE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3년 에너지원별 비중은 석유가 38.6%로 30% 수준으로 낮아지지만, LNG와 원자력 비중은 모두 15% 안팎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