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미디어법 통해 좋은 일자리 만들어야”

이명박 대통령은 27일 “방송과 통신이 융합하면 새로운 기술이 많이 나오고 우리는 IT기술이 있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며 미디어 관련법 통과에 대해 우회적으로 지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제 20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기념해 KBS 민경욱 앵커와의 대담 형식으로 진행된 ‘안녕하십니까, 대통령입니다’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법이 안돼서 그걸 할 수 없었지만 선진 기술을 앞세워 세계에서 방송통신 융합 표준을 만들어야 하고 이것을(미디어법) 통해 우리가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미디어법이 언론장악 의도가 있다는 주장에 대해 “어떤 정권도 방송이나 언론을 장악할 수 있다 하는 시대는 지나갔다”며 “정권이 바뀌었다고 바뀐 정권에 유리하게 보도해 달라하는 것은 원치도 않고 그렇게 되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미디어법 통과를 정치적으로나 이념적으로 해석을 해서는 안된다”며 “세계 모든 사람들은 ‘한국이 도대체 방송미디어법을, 혼자 하는 것도 아니고 세계가 이미 하고 있는데 저렇게 하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근원적 처방을 묻는 질문에 “우리사회가 너무 극단적으로 갈라져 전부 이분법적으로 생각하는 사회를 가지고는 우리가 한걸음도 나갈 수 없다”고 진단하면서 “사람을 내쫒고 새로운 사람을 갖고 들어오는 것은 근원적 쇄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장관의 경우 국내와 국제 일(업무)이 반반 정도 된다”며 “사람을 휙휙 바꿀 경우 정치적으로는 잠깐 도움이 될 지 모르겠지만 실제 일에는 큰 타격이 있다”고 대폭적인 인사교체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이 대통령은 또 경제회복 전망과 관련, “내년에 가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서 한국이 가장 높은 성장을 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지만 저희들은 신중하게 대응하고 있다”면서 “출구 준비라고 말을 하지만 저는 그것은 아직 이르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