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의약바이오 정부 지원, 민간 수요와 일치”

그동안 의약바이오 분야의 정부 지원이 민간 기술 수요에 맞춰 적확하게 진행된 것으로 조사 됐다.

19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발간한 ‘바이오 R&D 연게성 맵핑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바이오 분야 국가 R&D 지원과제와 학회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정부 지원과제는 의약바이오 분야, 연구논문은 산업바이오 분야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의약바이오 분야의 경우 정부 지원과제와 학회 연구논문의 연구방향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가 R&D 정책이 민간의 기술수요에 부합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KEIT는 이번 조사에서 지난 10년간 지식경제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바이오 R&D 지원과제 181개와 1996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생물공학회에 게재된 논문 427건의 현황을 분석·비교해 맵핑했다.

그 결과, 의약바이오, 산업바이오, 융합바이오 등 3개 분야로 대분류할 경우, 정부 R&D 지원과제는 72%가 의약바이오 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회의 연구논문은 산업바이오 분야가 6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 지원과제와 다른 방향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 중 의약바이오 분야 R&D 과제 131건과 학회 논문 112건을 중분류한 결과, 재조합생물의약품과 재생의약품, 저분자/천연물의약품 등에서 동일한 방향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의약바이오 분야가 국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민간의 수요가 많고, 정부 R&D 정책 이의 필요성을 공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KEIT측은 풀이했다.

정부 지원과제와 학회 연구논문을 시계열로 매핑한 결과에서도 의약바이오 분야의 경우 정부의 R&D 지원 분야와 논문활동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생의약품에 해당하는 세포치료제와 인공장기 분야의 R&D 활동과 연구논문이 활발해 최근의 바이오의약품 시장현황과도 일치했다.

이밖에 산업바이오 분야는 논문활동에 비해 국가 R&D 지원활동이 거의 없었으며, 융합바이오 분야는 논문 및 R&D 활동 분포가 상대적으로 적어 해당기술 분야의 시장 요구가 초기단계임도 확인됐다.

최종화 신기술평가팀장은 “바이오 분야의 경우 기업의 연구개발 계획을 잘 공개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번 맵핑 연구가 정부 R&D지원의 나침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전 분야에 이번 R&D맵을 확대·적용해 신규과제 발굴 기획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툴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R&D 연계성 맵핑 연구’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KEIT 홈페이지(keit.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