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로봇기술’ 이전, 특허전문가가 ‘성사’

대학에 파견된 특허관리전문가가 지방국립대의 한 연구실에서 개발된 ‘수중항만로봇기술’을 발굴해 국내기업에 정액기술료 5억원과 경상기술 로열티를 지급받는 조건으로 기술이전을 성공시켰다.

특허청과 지식재산연구원은 창원대에 파견된 특허 전문가가 제어계측과에서 개발한 ‘수중항만공사 기계화 시공장비 기술’을 한국건설기술로봇에 정액기술료 5억원과 경상기술 로열티를 지급받는 조건으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다고 15일 밝혔다.

창원대에 파견된 특허전문가 윤상호(42세)씨는 제어계측공학과 이민기 교수팀이 2001년부터 연구해 온 ‘수중항만공사 기계화 시공장비 개발사업’의 연구성과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사업성을 파악했다. 윤상호 씨는 연구 성과물의 △중량물 조정장치 △수중 로봇시스템 △방파제 피복용 로봇암 등과 관련된 6건의 국내 특허 출원에 따른 사업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특허법인 세신 및 경남지식재산센터와 공동으로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기술이전사업을 추진, 이전을 성공시켰다.

이 기술은 깊은 바다 속에서 2∼3톤 규모의 큰 돌을 쌓는 위험한 작업을 대체하는 기술로써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상용화될 경우 방파제 피복작업·하천제방·옹벽 축조·조경·중량물 조립 철거·상차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 돼 정밀 및 견실시공, 작업능력의 획기적 향상으로 공사비 절감은 물론 재해예방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 감소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윤상호씨는 “이번 기술이전 계약 건으로 창원대학교의 산학협력 사업이 큰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기대되며, 학내 교수 및 연구원들에게 ‘지재권 중심의 기술획득 전략’을 전파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