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도 CEPA 발효땐 기계·자동차·가전 수출 호재"

 한국과 인도간 경제동반자협정(CEPA)이 발효되면 우리나라의 대인도 무역흑자가 연평균 1억4000만달러씩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연구원은 15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내년초 발효될 한국·인도 CEPA협정으로 인해 한국의 인도수출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1억7700만달러씩 늘고 수입은 3700만달러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CEPA로 인한 제조업 분야의 수출 증가폭은 여타 국가와 자유무역협정(FTA)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CEPA체결로 우리나라의 수출이 늘어날 분야는 기계, 자동차 부품, 철강이고 인도는 정밀화학 및 섬유 분야에서 한국수출이 늘어날 것것으로 예상했다.

 전기전자 분야는 휴대폰과 반도체의 관세가 이미 철폐됐고 백색가전, TV는 향후 8년에 걸쳐 관세를 절반으로 낮춰 수출 증대 효과가 연평균 1000만달러 내외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CEPA에 따른 무역흑자 효과를 꾸준히 누리려면 인도시장에서 한국상품을 알리는 현지 홍보활동을 적극 전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업연구원은 인도현지에 한국기업 전용공단 건설을 서두르고 이미 인도에 진출한 자동차, 전자분야 대기업들의 브랜드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하라고 덧붙였다. 현재 한국, 인도간 CEPA 협정은 우리 국회의 비준만 거치면 2010년 초부터 발효될 여건이 마련되어 있다.

 배일한기자 bailh@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