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7일 오후 12시를 기해 지난 7월 7일 DDoS 공격 이후 유지되어 온 모든 사이버 경보단계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7·7 DDoS 공격 관련 사이버위기 경보는 사건 발생 후 ‘주의’ 단계를 발령했고 DDoS 공격 양상이 약해진 7월 15일부터는 ‘관심’단계로 하향, 유지해 왔으며 최근 공격징후가 사라지고 범정부 차원의 대책방향이 정립된 것을 계기로 위기경보를 완전히 해제한 것이다.
7월 7일 DDoS 공격이 시작된 이래 2개월 이상, 방통위와 국정원의 사이버위기 대응조직은 물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인터넷침해대응센터’는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면서 전력을 다해 대응조치를 하고 추가적인 공격에 지속적으로 대비해 왔었다.
박철순 방통위 네트워크정보보호팀장은 “사이버위기 경보가 해제됐지만 향후 수립·추진될 정부의 세부계획들이 실효를 거두고 사이버 침해의 사전 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보안 투자에 나서는 것은 물론이고 국민 개개인이 보안패치 및 백신 업그레이드 등의 보안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