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진출 소매업체 57% “고정비 건지는 수준”

해외에 진출한 소매업체의 절반 가량이 손익분기점 수준의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해외에 진출한 국내 소매기업 5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소매기업의 해외경영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경영실적을 묻는 질문에 소매기업의 57.1%는 ‘손익분기점에 근접’이라고 밝혔다.

흑자 경영을 하고 있다는 기업은 22.9%, 적자 경영이라는 응답은 20.0%였다.

‘흑자 경영’이라고 응답한 기업의 44.4%는 ‘흑자 경영으로 전환되는데 3~5년 걸렸다’고 말했고 33.3%는 ‘2~3년’이라고 대답했다.

해외 진출법인의 영업이익률에 대해서는 ‘국내보다 떨어진다’는 응답이 51.4%로 가장 많았고, ‘국내와 비슷하다’ 또는 ‘높다’는 응답은 28.6%, 20.0%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중소기업 50%가 ‘적자경영’이라고 응답해 대기업(4.3%)에 비해 해외사업 진출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출 국가별로는 중국(80.0%)·미국(34.0%)·베트남(11.0%)·러시아(6.0%)·일본(6.0%) 등의 순이며 해외진출 형태로는 ‘독자설립’(69.2%)이 ‘합작 설립’(30.8%)보다 많았다.

해외 진출시 고려하는 요인으로 국내 소매기업들의 40.3%는 ‘해외 진출 지역의 시장 규모’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자사의 국제 경쟁력’(14.9%)과 ‘진출지역의 유통업계 경쟁 정도’(11.9%), ‘법적·행정적 규제정도’(9.0%) 등의 순이었다.

앞으로 해외 진출 확대 계획에 대해서는 68.7%가 ‘진출 국내에서 확대(14.3%) 또는 진출국외 다른 국가에도 확대(54.4%)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나머지 31.3%는 ‘현상 유지’(28.4%) 또는 ‘축소’(2.9%)의사를 밝혔다.

진출 확대 이유로는 ‘기존 글로벌 전략의 연장’(38.1%)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국내보다 높은 성장잠재력’(35.7%), ‘기존 사업의 높은 성장세(11.9%)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현상유지 또는 축소 이유는 ’자금여력 부족‘(36.3%), ’해외 파트너 물색 어려움‘(27.3%), ’기존 사업 적자‘(18.1%) 등이었다.

해외 진출 유망국을 묻는 질문에는 기업의 74.3%가 ‘중국’을 꼽았다. 다음으로 ‘베트남’(25.7%), ‘인도’(14.3%), ‘말레이시아’(11.4%), ‘인도네시아’(8.6%) 순이었다.

선정이유로 ‘거대 소비시장’(48.4%), ‘높은 GDP 성장률’(24.2%), ‘덜 치열한 경쟁구도’(9.7%) 등을 꼽았다.

해외 진출시 겪었던 애로 사항에 대해서는 ‘법적·행정적 규제’(65.7%), ‘홍보 및 마케팅 어려움’(34.3%), ‘진출 지역 정보 부족’(25.7%), ‘현지 인력관리’(20.0%), ‘생활 및 문화차이 이해’(17.1%)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국내시장을 넘어 성장잠재력이 높은 해외시장의 문을 두드리는 소매기업들이 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를 위해 해외진출 유통기업에 금융지원 및 세제혜택, 현지 유통정보 제공 등 실질적인 지원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