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검토 중인 ‘총량제한 방식의 배출권거래제’ 도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경련은 22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대회의실에서 ‘외국의 배출권거래 시행현황 및 시사점 세미나’를 개최하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도입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조용성 고려대 교수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설계시 제도 유형, 참여 대상과 방식, 할당방법, 거래대상 가스 등 주요 쟁점사항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철저한 사전 준비와 시범사업을 거쳐 우리나라에 맞는 방식을 채택할 것”을 제안했다.
조 교수는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중 정부가 배출권거래제의 방식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총량제한 방식’은 에너지 다소비 제조업 중심의 우리 산업구조에서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추가 설비투자를 제한해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전제, “원단위 방식, BAU 방식, 부문별 접근 등 다양한 형태의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영환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국내 배출권거래제가 도입되는 경우에도, 국내 산업의 국제경쟁력 약화 여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보완 방안을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박사는 “EU에서도 국제 경쟁에 노출된 산업에 대해서는 배출권 할당 시 내수 산업과 다른 할당방법을 적용하고 있다”며 “2013년 이후 EU에서 배출권을 경매방식으로 할당할 경우에도 일부 수출산업에 대해서는 무상 할당해 역내 산업경쟁력 유지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부처장은 “향후 배출권 거래제 도입 시 각 업종의 특성과 기존 시장의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 부처장은 “발전부문 배출권 모의거래 사례 발표를 통해 온실가스의 총량을 규제했을 때, 석탄대신 LNG 사용에 따른 전력요금 상승, 에너지 수급의 교란, 발전 여건 악화로 인한 정전 사태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노종환 한국탄소금융 대표는 주제발표를 통해 최근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미국·호주 등으로 탄소시장이 확대되고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밝히고 “우리나라도 다양한 유형의 배출권 거래방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국내 현실에 맞는 제도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정인 중앙대 교수는 “유럽에서도 철강·시멘트와 같이 국제경쟁을 해야 하는 에너지 집약산업에 대해서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무상으로 할당하는 등 실질적인 산업 보호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해외 기업과 경쟁하려면 한국도 비슷한 수준의 산업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에너지다소비 업종 관계자를 포함해 금융·운송·IT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200여명이 참석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