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펜하겐 협약` 합의 공감대 넓혔다](https://img.etnews.com/photonews/0909/090923064101_120427510_b.jpg)
국가 정상급 100여명을 포함, 총 180여명이 참가한 사상 최대 규모의 기후변화 정상회의가 22일(현지시각) 뉴욕 유엔본부에서 개최됐지만 여전히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시각차가 존재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중재안을 제시하고 원탁회의를 주재하면서 녹색성장 주도국임을 과시하고 정상의 이해를 일치시키는 데 노력했다. 이 대통령의 노력과 함께 ‘선진국 책임론’을 제시하면서 소극적이었던 중국과 인도가 탄소감축 의지를 분명히 하고 일본 등 선진국들이 보다 진전된 조치를 내놓으면서 86일 앞으로 다가온 코펜하겐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합의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다.
후진타오 중국 주석은 이날 회의에서 “중국은 국가 경제규모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당폭으로 줄이고 재생에너지와 핵에너지 보급으로 2020년까지 비 화석연료 사용비율을 15%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는 제시하지 않았지만 비 화석연료 사용비율 목표치를 제시한 것이 큰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자이람라메시 인도 환경장관은 “인도 정부는 2011년까지 연료효율 목표치를 설정하고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20%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는 1990년 대비 2020년까지 25%의 감축 목표치를 제시, 자민당 정권보다 보다 더 진보된 안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일본은 지난 6월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15% 감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개도국들이 주장하는 돈과 기술의 이전에 대해서도 “일본은 빈국들의 온실가스 방출 감축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과 기술 지원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며 적극적 의지를 피력했다.
선진국 가운데 가장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던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크기나 빈부를 떠나 모든 나라의 안보와 국민의 생활이 위기에 처했다”며 “선진국은 지난 한세기 동안에 대해 책임이 잇지만 개발도상국 역시 자기 몫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이 대통령은 케빈러드 호주 총리와 함께 8개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된 원탁회의중 제 1그룹(26개국 참가) 공동의장을 맡아 회의를 이끌었다. 이 대통령은 “국가별로 적절한 온실가스 감축행동 목표치를 유엔 기후변화협약사무국에 설치된 등록부에 기재함으로써 교착상태를 풀자”고 중재안을 제시, 각국 정상들로부터 공감대를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