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산소 관련 효소의 화학반응에서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중간체 구조를 밝혀냄으로써 효소 기능을 모방한 인공 효소 시스템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
이화여대 바이오융합과학과 남원우 교수팀은 산소를 전달하면서 활성화하는 산소 관련 효소의 화학반응에서 순간적으로 존재하는 중간체 구조를 밝혀냈다고 23일 발표했다.
남 교수는 순간적으로 존재하는 중간체의 존재와 모양을 규명하기 위해 생체 내 효소 대신에 실험실에서 합성해 만든 인공 효소를 사용해 극저온에서의 화학반응을 통해 중간체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후 엑스레이 회절법으로 구조를 분석했다. 중간체 특성 규명을 위한 방사광 가속장치 사용은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에드워드 솔로몬 교수팀이 담당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인공 효소를 만드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향후 효소 기능을 모방한 인공 효소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 교수는 “생명체는 움직이는 공장”이라며 “생명체의 화학반응을 정확히 이해하면 무공해 생산 공정과 노화방지 신약 등을 개발하는 데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이자 화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 23일자에 게재됐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