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DDoS 방어장비 구축 200억 투입

 정부가 내달 공공기관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방어장비 구축에 200억원의 예산을 집행한다.

 공공기관에서 2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DDoS 방어장비를 한 달 새 집중적으로 발주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외 업체들의 사활을 건 수주전이 예상됐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7·7 DDoS 공격 대란 이후 마련한 정보보호 대책의 일환으로 DDoS 방어장비가 구축되지 않은 행정기관 132곳에 201억원 규모의 장비를 구축하기로 하고 내달 일제히 발주한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DDoS 대응 장비를 갖추지 않은 행정기관은 국토해양·국세·국방·외교·경찰·보건·의료·교육·과학·증권·특허·국회 등이다.

 행안부는 이를 5개군으로 나눠 주무부처에서 내달 차례로 발주하도록 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DDoS 방어장비 구축뿐만 아니라 △컨설팅 △보안관제 △네트워크 보안 영역까지 포함될 예정이다.

 장영환 행안부 정보보호정책과장은 “내달 지방청을 포함한 행정기관 132개의 장비 발주를 모두 완료해 연말까지 모든 행정기관이 DDoS 대응시스템을 갖추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공기관 DDoS 방어장비 발주 일정이 구체화하면서 현재 국가정보원에 공공기관용 장비지정을 요청한 11개 DDoS 장비업체들이 대거 수주전에 뛰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지난 7·7 DDoS 사태 때 보안성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난 외산장비 대신 국산장비가 대거 도입될지 관심이 쏠렸다.

 국정원에 공공기관용 DDoS 방어장비 지정을 요청한 업체는 나우콤, 퓨쳐시스템, 컴트루테크놀로지, 시큐아이닷컴, 한세텔레콤, 닷큐어, 리오레이, 시큐비스타, 시스코시스템즈, 라드웨어, 아버네트웍스 등이다.

 국내 장비업체 한 관계자는 “지난 7·7 DDoS 대란 당시에 쓰인 방어장비는 대부분 외산 제품이었으나 일부 장비가 시스템 과부하로 다운되는 등 성능상 문제점이 지적됐다”며 “이들이 배제되면 국산 제품이 대거 채택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