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등을 치료할 특정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데 기반이 되는 대장균 유전체 지도가 국제 공동연구로 확보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시스템연구본부 김지현 박사 연구팀은 교육과학기술부 21C 프론티어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장 오태광)의 지원을 받아 미국 및 프랑스와 함께 대장균 2종(BL21, REL606)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완전히 해독하고 정보를 분석해 산업적·학문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국 브룩헤븐국립연구소 F.윌리엄 스튜디어 박사와 미시간주립대 리차드 E. 렌스키 교수가 균주를 제공하고, 프랑스의 유전체연구소인 지노스코프 디젤런 박사팀은 유전체 해독 과정에 관여했다. 국내에서는 생명연 김지현·박홍석·허철구 박사 연구팀과 KAIST 김선창 교수팀이 유전체 서열 해독 및 해석, 유전체 비교, 최소 유전자 세트와 팬지놈 분석 연구를 담당했다.
연구진이 확보한 대장균 염색체 크기는 ‘BL21’이 455만7508염기쌍(유전자 수는 4157개)과 ‘REL606’이 462만9812염기쌍(유전자 수는 4205개)이다.
연구진은 이들 2종의 대장균 유전체 서열을 정밀 비교 분석한 결과 단일 복제와 자외선 및 화학물질에 의한 돌연변이, 새로운 정보의 추가 흔적 등이 염색체 상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32종에 이르는 여타의 병원성 또는 비병원성 대장균과 유전체를 상호 비교해 대장균을 결정짓는 코아지놈이 1730개인 것으로 확인했다.
이번 국제 공동연구를 총괄한 생명연 김지현 연구원은 “대장균의 종류도 사람과 침팬지만큼이나 거의 차이가 없다는 사실도 확인했다”며 “대장균을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셈”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