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멀티미디어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디지털 교과서 정책의 일대 방향 전환이 시급하다. 정부는 지난 2007년부터 일선 초등학교에 태블릿PC 형태의 디지털교과서를 보급, 세계적으로 가장 앞서 u러닝 환경을 만들었지만 단말기 정체성이 모호하고 하드웨어·플랫폼·콘텐츠를 아우르는 중장기 전략이 없는데다 공공·민간 시장이 따로따로 움직이면서 시너지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교과서 시장의 현황과 문제점, 나아갈 방향을 3회에 걸쳐 긴급 진단한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처음부터 디지털 교과서 단말기에 관련 기술을 총망라하려 한 게 잘못됐다.” (e러닝 분야 전문가 A대 교수)
“우리 디지털교과서는 정체성이 모호하다. 차라리 전용 OS를 만들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학습교과서인지, e북인지, 학습 관리 매니저인지 불분명하다.” (디지털교과서 시스템구축 업체 B사 관계자)
“단일 부서가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모두 쥐고 시행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 단말기부터 플랫폼, 콘텐츠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가 결합된 만큼 이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시점이다.”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전문업체 C사 사장)
최근 u러닝 관련 정책을 논의하는 비공개 전문가 토론회에 참석한 학계와 산업계 관련자들이 쏟아낸 불만이다. 한마디로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재고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007년 u러닝 시대에 대비한 미래 학습 환경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이 사업에 착수했다. 전국 112개 학교에서 시범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오는 2013년 전국 상용 서비스에 들어갈 계획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 적용된 디지털교과서가 향후 전국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정부와 민간 사이의 협력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곳곳에서 마찰음을 내고 있다는 점이다.
콘텐츠 전문업체의 한 관계자는 “정부 예산의 대부분이 눈에 보이는 하드웨어에 집중된 상황에서 정부가 성과내기에 초점을 맞춘 시범사업을 한다”고 꼬집었다. 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HP의 태블릿PC 제원이 너무 고급이고 불필요한 기능도 많다는 지적도 있다. 교과부에 따르면 디지털교과서 주요 기능에는 교과서 기능 외에도 멀티미디어·자료 검색·학습사전·하이퍼링크·학습관리·저작도구 기능 등 무수한 기능이 포함됐다.
또 다른 관계자는 “시범 사업 과정에서 시행착오는 불가피하겠지만 예산에 맞춰 그럴듯한 단말기를 만들어오라고 주문하는 정부의 자세가 문제”라며 “세계 시장이 열릴 것을 겨냥해 표준 플랫폼이나 기초 연구를 해야 할 시점”이라고 비판했다.
업계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너무 복잡한 기능을 갖춘 디지털교과서를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고 주장한다. 미국은 최근 아마존이 신형 ‘킨들DX’를 올가을 학기부터 프린스턴대학을 비롯한 7개 대학에 e교과서 시범 서비스용으로 공급했다. e북 단말기가 디지털교과서에 적합한지를 놓고 ‘아직 필기 기능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없지 않지만 업계는 e북 또는 기능이 단순화한 넷북에서 실마리를 찾는 추세다.
권석민 교과부 이러닝지원과장은 “2012년까지 시행착오 과정이며 최대한 많은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 시험해볼 방침”이라며 “내년에 단말기를 추가로 확대 보급하지 않기로 한 것은 일단 양적 확대보다 질적 검증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
"눈에 띄는 하드웨어만 지원" 지적 많아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디지털 교과서 주요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