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 의학적 적용 사례 늘어

일본에서 발광다이오드(LED)를 의학적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얼마 전 일본 철도회사 JR동일본이 지하철 이용객의 심리적 안점감을 높여 투신자살을 막을 목적으로 청색LED 조명을 도입해 화제가 된 데 이어 이번엔 일본 피부과 병원이 피부질환 치료에 LED를 활용하고 있다.

15일 아사히신문은 의료업계에 LED 시술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즉시 효과를 볼 수 있는 레이저 치료요법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LED 빛을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는 고열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또 빛의 색상 변화로 다양한 증상에 대처할 수 있다는 점도 또 다른 장점이다.

청색LED의 경우 피지선에 축적되기 쉬운 포르피린을 자극해 활성산소를 만들어낸다. 활성산소는 피지선의 활동을 억제해 여드름 발생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 적색LED는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사카시 주오구 소재 도키코클리닉은 기존 치료법으로 효과를 볼 수 없는 여드름 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LED 치료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시술을 받은 여드름 환자의 대부분이 상당한 효과를 봤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빛과 피부의 상관관계를 연구 중인 도시샤대학 피부노화연구센터 이치하시 마사미츠 교수는 “빛은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능력이 있다”며 “반도체 기술로 탄생한 LED가 의학계에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훈기자 jhchoi@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