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야심차게 마련한 세계 최대 규모의 풍력발전단지와 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에 대해 일부 업체들이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전남도를 주축으로 한 지자체의 실력 행사라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전남도는 기존에 업체들이 개별적으로 추진하던 사업을 일체 인정하지 않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전남도는 5GW 풍력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업체들이 기존 전남도 서남해안에 추진 중이던 모든 풍력발전 사업을 인정하지 않고 전남도와 별도로 협약을 맺도록 하고 있다.
협약을 맺은 업체는 자체적으로 풍황 및 사업타당성을 조사한 결과를 공유해야 한다. 사업추진단에서 소요되는 비용은 업체에서 갹출한다. 또 사업개발 지역도 추첨을 통해 업체별로 나눠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물론 상당수의 기업들은 새로 참여하는 것에서 손해볼 이유가 없지만 기존에 사업을 추진하고 있던 업체들의 불만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 15일 전남도가 26개 기업과 ‘5GW 풍력산업 프로젝트’ 투자협약을 체결할 때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들은 하나같이 사장들이 불참했고 신안 비금도 일대에 해상풍력발전단지를 별도로 추진하던 동국S&C는 아예 협약에서 빠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새롭게 구성한 추진단도 단장은 전남도 투자정책국장이 맡고 있고, 본부장은 투자기획과장”이라며 “그 아래 업체별 직원을 파견해 6개 팀을 구성했는데 모든 사업을 전남도가 장악하는 것 아니냐”고 따져물었다.
문제는 또 있다. 사업성 부문이다. 전남도가 준비한 자료에 따르면 5GW 풍력발전단지가 완공되면 발전효율 30% 시 39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 생산된다. 하지만 발전효율 30%는 초당 풍속이 10m는 돼야 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실제로 전남 서남해안의 풍속은 초당 7m 정도에 불과하고 일정하지 않아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게 중론이다.
게다가 아직 해상풍력발전에 대해서는 발전차액지원제도 등 지원책이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다. 해상풍력발전은 육상에 비해 두 배에 가까운 지원금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1㎞당 약 20억원에 이르는 송전선로 및 계통연계 비용도 문제다.
이에 대해 전남도 관계자는 “서남해안에 난립하던 풍력발전 개발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