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아 의원 "디지털교과서 사업 검증 없이 졸속 추진"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디지털교과서 사업이 학생들의 정서적·신체적 건강과 예산, 가정과의 연계학습 등을 검증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진행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자신문이 최근 집중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한 대로 디지털교과서 사업에 대한 장기적인 재검토가 시급해졌다. 본지 10월 7일자 23면, 15일자 1면 참조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영아 의원(한나라당)은 19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추진하는 디지털교과서 사업이 시력저하, 전자파, 디지털 중독 등 학생들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미칠 부작용에 대한 연구 없이 졸속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실제 연구학교의 어린이들이 장시간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감을 호소했으며 일부 교사들은 손쉬운 클릭으로 즉각적인 결과 확인에 익숙해져가는 학생들의 학습 태도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또 현재 태블릿PC는 무게가 2㎏으로 책가방 없는 학교를 만든다는 취지가 무색해졌고 150만원짜리 고가 제품이어서 학생들이 집에 가져갈 엄두를 못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실은 또 외산 단말기를 구입한 탓에 고장 발생시 애프터서비스가 어렵고 단말기의 각종 오류로 수업의 흐름이 자주 끊기는 문제도 나타났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또 예산 투입 측면에서도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총 381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는데 이중 83%는 특별교부금이라며 전면 확대시 상당한 예산 부담이 예상된다고 꼬집었다.

박 의원은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획기적인 단말기 비용 절감 대책과 콘텐츠 개발 없이는 선심성 고가 컴퓨터 보급 사업에 지나지 않는다”며 “고가의 기기부터 보급할 것이 아니라 학교 현장에의 적합성에 관한 면밀한 연구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