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 환율 1120원대"

 환율 하락이 당분간 이어지겠지만 올해 2·3분기와 같은 급락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금융기관 연구원 등 환율전문가 1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원달러 환율은 올해 연말에는 1161원, 내년도 1분기에는 1140원, 2분기에는 1124원이 될 것이라고 26일 발표했다.

 분기별 20원 정도의 하락폭을 유지하겠지만 급격한 하락세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올해 원달러 환율이 1분기 중 119원 상승했다가 2분기 90원, 3분기 98원으로 하락했던 것과 비교해 등락폭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환율 하락 요인으로 응답자 37%가 ‘글로벌 달러 약세’를 지적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완화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달러 수요가 둔화하면서 최근 달러가치가 각각 유로화의 최고점 대비 19.4%, 엔화의 최고점 대비 11.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 25%가 경상수지 흑자 지속을, 16%가 외국인 주식 순매수 확대를 환율 하락 요인으로 들어 외환시장 여건 개선과 더불어 국내경제가 호전 기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원화 가치 상승에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무역수지 흑자는 321억달러에 이르고 있고 외국인 주식 순매수 자금도 3분기에만 14조9000억원에 달했다. 피치(Fitch)사의 한국 신용등급 상향 조정, IMF의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 상향조정 등 우리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환율하락 분위기에 일조한 것으로 전경련은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재발로 안전자산인 달러 보유 성향 확대, 국제금융기관의 글로벌 자금 회수 등이 나타날 경우 환율상승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응답자는 14%에 불과한 반면, 81%는 ‘가능성이 작다’고 응답해 글로벌 금융위기 재발에 따른 환율 상승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분석됐다.

 전경련은 “최근 환율이 지나치게 떨어져 수출기업 경영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밝히고, “우리 제품의 대외경쟁력 확보와 경상수지 흑자 기조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환율 급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통화당국의 제한적인 시장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