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지원사업 "올해 일은 올해 안에"

 매년 해를 넘겨 순연된 전자정부 지원사업이 당해연도에 모두 집행되는 방식으로 발주 패턴이 바뀐다.

 정보화 기업의 회계연도에 맞춰 전자정부 지원사업이 집행되면서 업체들의 비즈니스 불확실성도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됐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예정된 전자정부 지원사업 28건의 발주를 지난 8월에 모두 완료해 현재 집행률이 70%에 달한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12월까지 올해 기획된 28건의 사업이 모두 완료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그동안 당해연도에 50∼60% 집행에 그치고 다음해로 이월돼 다시 다음해 사업이 순연되는 악순환을 끝내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자정부 지원사업이 매년 이월된 것은 참여정부 시절 전자정부로드맵이 2003년 하반기에 수립되며 2003년 당해연도 사업이 집행되지 못하고 순연되면서 빚어진 관행”이라며 “올해 정부의 조기발주 이슈와 맞물려 발주를 서두르면서 발주 시기를 정상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특히 7·7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으로 긴급 편성된 200억원 규모의 보안장비 구축 사업도 이달 중 발주를 완료해 연내 사업을 끝낼 방침이다.

 전자정부 지원사업이 당해연도에 끝나는 식으로 진행되면서 사업의 진행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됐다.

 지금까지 전자정부 지원사업은 해를 넘겨도 된다는 인식이 만연해 일반적으로 상반기에 기획하고 하반기에 집행하는 경우가 허다했기 때문이다. 특히 1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 굵직한 사업의 경우 조기에 발주를 끝내야 당해연도에 사업을 끝낼 수 있는만큼 행정업무 속도가 한결 빨라질 전망이다.

 매년 사업이 순연돼 영업 계획을 수시로 변경한 정보화 관련 업체들도 예측 가능한 발주 패턴에 맞춰 보다 효율적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행안부는 올해 전자정부 지원사업에 1307억원을 투입한 데 이어 내년에는 22% 증가한 16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