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황에 따른 취업난 속에서도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인력 부족난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툭하 전자산업과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의 부족률은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식경제부는 4일 제조업과 정보통신 등 31개 산업 분야, 121개 직종의 1만544개 표본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산업기술인력 수급동향 실태조사 결과 부족한 산업기술인력은 2만952명, 부족률은 3.5%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2004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로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0인 미만 사업체의 기술인력 부족률은 4.3%로, 300인 이상 업체(2.0%)의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 보면 전자산업과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 분야의 부족 인력이 각각 4809명과 3676명으로 가장 많았다. 부족률은 각각 5.6%와 6.4%를 기록했다.
학력별 부족 인원은 학사가 1만2천88명으로 전체 부족 인원의 57.7%를 차지했고, 학력별 부족률은 석사(4.1%), 학사(3.9%), 박사(3.8%) 순으로 높았다.
또 지역별로는 경기(29.9%)와 서울(25.3%)에 절반이 넘는 기술인력이 집중돼 있었고, 제주와 강원, 대전은 각각 7.1%, 5.2%, 4.9%의 인력 부족률을 보였다.
한편, 지난해 산업기술인력은 10인 이상 사업체 총 종업원수(372만9천474명)의 15.7%에 해당하는 58만5487명으로, 산업별로는 제조업 종사자가 전체 산업기술인력의 58.6%를 차지했다.
특히 전자와 기계, 화학, 반도체, 자동차, 조선, 철강, 섬유 등 8대 주력산업 종사자가 28만6903명으로, 전체 산업기술인력의 49%를 점유했다.
학력별 산업기술 인력은 학사(50.9%), 전문학사(33.1%), 석사 이상 학력자(16%) 순으로 많았다.
성별로는 여성 기술인력 비중이 전체의 9.3%인 5만4천395명에 불과했고, 연령대별로는 30대(49.8%)와 20대(24.3%)가 전체 산업기술인력의 74.1%를 차지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