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외국계 은행이 전화금융사기 피해를 막는 데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4일 시중은행 9곳을 대상으로 전화금융사기 피해 예방률을 조사한 결과, 평균 58.5%였다고 밝혔다. 이중 한국씨티은행은 35.4%, SC제일은행은 40.6%, 농협은 49.1%로 50%를 밑돌았다. 피해 예방률은 은행들이 사기혐의 계좌에 대해 얼마나 지급정지 조치를 해 고객의 피해를 사전에 막았는지 보여준다.
윤창의 금감원 사이버금융감시반장은 “일부 은행은 고객이 전화금융사기로 피해를 보더라도 자신들의 수익과 관계가 없다고 보고 피해 예방에 소극적인 것 같다”며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대처하도록 지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지난 6월부터 금융회사들과 함께 전화금융사기에 이용되는 계좌를 집중 단속해 3714개 계좌를 적발, 사기범이 인출하지 못하도록 95억원을 지급정지했다.
또 지난 9월부터 전화금융사기로 지급정지된 계좌의 예금주 명의로 다른 은행에 개설된 계좌에 대해 인터넷뱅킹이나 폰뱅킹 등 비대면 거래를 통한 인출을 제한한 결과, 4534개 계좌의 인출이 차단됐다.
올해 상반기 전화금융사기는 월평균 787건(피해액 74억원)이 발생했으나 금감원의 대책 시행 이후에는 월평균 368건(피해액 28억원)으로 감소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