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로봇산업 10%대 성장

 최악의 경기 위축속에서도 국내 로봇산업이 생산액 기준 10%대의 성장세를 유지하며, 신성장산업 핵심분야의 위세를 재확인했다. 특히 서비스용 로봇의 성장세가 시장을 주도했다.

4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로봇기업들의 생산액은 8268억원이었으며 올해 생산액은 전년 대비 10.5% 증가한 9137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체 생산액의 10% 이하이긴 하지만, 서비스용 로봇의 생산액이 905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무려 87.4%나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분야별로는 경계감시용·안내용·재난구조용·화재감시·진압용 등 전문서비스용 로봇이 전년 대비 74.4%, 교육용,·청소용·오락용 등 개인 서비스 로봇이 전년대비 101.2%의 큰폭 성장세를 탈 전망이다.

반면, 로봇산업군에 뛰고 있는 기업은 대부분 규모가 영세하거나 신생업체가 많았다.

조사대상 204개 업체 가운데 로봇분야의 매출이 50억원 이상인 업체는 25개로, 전체의 12.2%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87.8%는 매출이 50억원 미만이었다. 또 이 가운데 매출이 1억원도 안 되는 업체가 59개로, 28.9%에 이르렀다.

설립시기를 보면 2000∼2004년에 설립된 업체가 77개사로, 전체의 37.7%, 2005년 이후 설립 업체가 43개로 21.1%를 차지하는 등 전체 업체의 58.8%가 2000년 이후 설립된 신생업체였다.

이 같은 특성은 로봇산업의 전략적 육성이 최근 들어서 본격화된 데 따른 현상으로, 전체 업체 가운데 39.7%인 81개가 로봇산업 진입을 검토하는 단계이거나 개발하는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사업이 성숙기에 접어든 업체는 전체의 6.4%인 13개에 불과했다.

사업분야별로는 제조업용 로봇 생산기업이 38.7%인 79개사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로봇부품 및 부분품(30.4%), 개인서비스용 로봇(21.6%), 전문서비스용 로봇(9.3%) 순인 것으로 조사됐다.

원영준 지경부 로봇팀장은 “국내 로봇산업 자체는 아직 규모가 작지만, 대기업의 로봇사업 진출 추세 등을 감안하면 로봇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