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구인구직 포털사이트에는 직장을 옮기려는 사람들의 이력서가 밀려들고 있다. 이 가운데는 직장을 잃은 사람도 많지만 멀쩡한 직장을 떠나 ‘또다른’ 출발을 하려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하지만 직장을 옮기는 일은 숙고를 거듭해야 할 인생의 대사(大事) 가운데 하나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단순히 나의 시장 가치가 얼마인지를 따질 게 아니라 회사를 옮기려는 목표와 명분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 무작정 시장에 나서지 말고 사전 컨설팅으로 이직할지 기존 회사에 남을지를 면밀히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다음은 잡코리아(www.jobkorea.co.kr)에서 제안하는 이직 노하우다.
◇지원회사와 자신의 비전이 일치함을 강조하라=신입직과 달리 경력직은 앞서 근무했던 기업과 현재 지원하는 기업의 비전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을 것으로 인정되므로 개인의 비전이 지원하는 회사의 비전과 일치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한편 ‘또 한 번의 이직 가능성이 없음’을 보여줘야 한다.
◇동종 업계·직무 이직은 가급적 2회를 넘기지 않아야=IT 분야는 동종 업종 간 교류나 커뮤니케이션이 빈번하기 때문에 동일 업종·직종으로의 이직은 당사자의 신뢰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면접 시 연봉에 너무 연연하지 말라=면접 시 연봉에 집착하면 면접자는 지원자의 이직 사유가 단지 연봉 때문일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5년 내에 장기 근무가 가능한 기업을 선택해야=경력이 5년이 넘어선 뒤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직을 결정하기 어려워지며 이직 대상 기업의 범주도 점차 줄어든다. 따라서 5년 이내에 장기 근무가 가능한 기업을 찾아야 한다.
◇철저한 경력관리=높은 대우를 받고자 한다면 개발자와 기획자는 최고의 레퍼런스(성공사례)를, 마케터는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레퍼런스와 인적 네트워크는 존재 자체보다 어떻게 정리하고 관리되는지가 더 중요하다. 경력직 채용 시 구체적인 성과를 제시할 것을 요구하는 때가 많다.
◇이직 동기를 지금의 직장에서 찾지 말아야=상사와 갈등, 급여나 후생복지에 대한 단순한 불만으로 이직을 시도해서는 안 된다. 자신의 높은 학력에 비해 회사 규모가 작다고 무리하게 옮겨서도 안 된다. 이런 이유로 이직하면 대부분 1년 안에 또 다른 직장을 찾게 된다. 이처럼 자주 직장을 옮기는 사람은 헤드헌터들 사이에서 블랙리스트에 오르기도 한다. 기업으로서는 필요인력을 교육시키는 비용만 지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업 비밀이 누출되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낯선 분야에 도전하지 말라=워낙 새로운 직업이 많이 생기는 시대라 이직과 함께 직종도 바꾸려는 사람이 적지 않다. PC 영업을 오랫동안 해온 사람이 네트워크 영업에 뛰어들려고 한다면 그는 쉽게 새 직장을 얻지 못한다. 자신은 그 일을 맡으면 잘할 것 같고 실제로 잘할 수도 있지만 회사는 ‘잠재 능력’이 아니라 ‘경력’으로 그를 평가하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평가하라=이직 희망자가 우선 생각해야 할 것은 자신에 대한 냉정한 평가다. 특정 업무에서 나의 경쟁력이 얼마나 되는지 실무 처리 능력은 남보다 우수한지 등을 평가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마케팅 매니저가 되고 싶으면 마케팅 전략기획에서부터 리서치·영업·홍보 등 능력을 두루 갖춰야 한다. 한 분야만 그럭저럭 한다면 도전해도 성과가 좋지 않다.
◇헤드헌팅업체를 이용하라=최근 직장인들 사이에서 헤드헌터에게서 취업 컨설팅을 받고 성공적인 이직을 준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헤드헌터가 노동 시장의 주요 참여자로 부각되면서 헤드헌터들과 개인적인 네트워크를 맺고 있는지가 원하는 이직을 일궈내는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주간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