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량 2005년 대비 4% 감축안` 확정

17일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중기 목표치’를 세 번째 시나리오인 배출전망치(BAU) 대비 30% 감축안(2005년 대비 4% 감축)으로 확정함에 따라 산업계는 일단 국가 정책으로 정해진 만큼 목표 달성에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삼성전자·포스코 등 대기업은 올 들어 녹색성장 전략을 선포하는 등 자율적인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산업계는 그러나 각 부문별 목표가 세워지지 않은 만큼 세부 계획을 수립할 때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전망과 기업 경쟁력 등을 면밀히 따져 기업(산업계)이 부담되지 않은 선에서 결정돼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현실적 대안 찾아야=그동안 여러 창구를 통해 ‘반대 또는 불가’ 의견을 견지해 온 산업계는 정부의 감축안이 확정되자 ‘조건부 동참’을 내걸었다. 정부가 전략적인 정책으로 확정한 만큼 목표달성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되, 세부 감축목표를 정할 때는 현실을 좀더 진단해서 산업계만 부담을 떠안는 구도로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조건이다.

이경훈 포스코 상무는 “이제는 어떻게 접근해서 목표달성을 이루느냐가 중요하다”며 “각 산업별 특성과 여건이 어디까지 왔고 줄일 수 있는 여력이 어느 정도인지, 한계비용은 얼마나 되는지 등 다각적인 부분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인학 전경련 상무(산업본부장)는 “이미 포스코의 파이넥스 공법을 비롯해 기업들이 도입한 생산설비는 이미 선진국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기록하고 있어서 추가로 감축하는 게 쉽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세부 계획은 경제성장이나 기업 경쟁력에 부담되지 않은 범위에서 정해져야 하고 기업이 자율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인센티브 제도나 세제혜택안을 도입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논평을 통해 “국제적으로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의지를 인정받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촉진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국민적 부담이 수반될 것”이라며 “이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국민적 동의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상의는 또 “선진국과 달리 국내 산업구조는 제조업의 비중이 크다”며 “산업계가 국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사, 자율 감축 방안 박차=산업계는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가 부담스럽긴 하지만 발 빠르게 움직이지 않으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는 상황임을 일찍부터 인식, 대기업을 중심으로 녹색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작년 6월에는 전경련·대한상의·중소기업중앙회 등 산업계가 자율적으로 2020년까지 온실가스 원단위를 2005년 대비 40%나 개선키로 하고 이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업계 자율실천 협의체’를 설치하기로 한 바 있다.

개별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지난 7월 ‘녹색기업으로의 탈바꿈’을 선언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3년까지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겠다는 파격적인 대책을 내놨다. 특히 친환경 제품 출시를 위한 연구개발에 3조1000억원,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고효율 설비 도입 등을 통한 녹색사업장을 구축하는 데 2조3000억원 등 총 5조4000억원을 쏟아붓겠다는 대규모 투자계획도 공개했다.

LG전자 역시 2020년까지 제품사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연간 3000만톤씩 줄이는 한편, 청정개발체제(CDM)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대·기아자동차도 고연비, 친환경차 개발 및 이산화탄소(CO2) 감축을 위한 연구개발(R&D)과 설비투자에 2013년까지 총 4조1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지난 10여 년간 7000억∼8000억원을 투입해 개발한 파이넥스공법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는 포스코도 지난 7월 ‘Global Green Growth Leader’ 비전 아래 ‘범포스코 녹색성장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온실가스 줄이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주문정·유창선기자 mj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