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시티 강국` 꿈으로만 끝나나?

저가 수주 경쟁에 품질 저하 불보듯

 한국토지주택공사가 u시티 본사업 입찰에서 가격 평가 비중을 10%포인트(p)가량 높이기로 했다. 낙찰가율을 떨어뜨려 예산을 절감하겠다는 전략이지만 저가 수주 경쟁을 촉발해 품질 낮은 u시티를 양산할 것으로 우려됐다. 정부가 u시티 산업을 신성장동력과 수출전략 상품으로 육성하겠다는 공언과도 정면 배치돼 업계의 비판이 고조됐다.

 18일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이지송)는 다음 달 인천 청라지구 u시티 본사업의 기술과 가격 평가비중을 기존 8 대 2에서 7 대 3으로 바꿔 가격평가 점수를 20%에서 30%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토지주택공사 관계자는 “재무 개선을 위해 도시개발사업의 원가를 낮추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청라지구 u시티 사업도 이 같은 맥락에서 가격점수를 높여 낙찰가율을 떨어뜨리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토지공사와 주택공사를 통합해 출범한 토지주택공사는 89조원에 이르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재무구조 개선을 우선 과제로 추진 중이다.

 하지만 가격 점수가 10% 높아지면서 낙찰가율이 산술적으로 10%가량 떨어져 부실 구축과 업계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 대기업의 한 임원은 “인천 청라지구는 총사업비 600억원 규모로 올해 발주하는 u시티 프로젝트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인 데다 업체들이 초기시장 실적 확보를 위해 밑지고도 수주하겠다는 분위기”라며 “가격 점수가 30%까지 확대되면서 사실상 기술보다 가격이 당락을 좌우하는 저가 경쟁으로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가 수주는 결국 품질 저하로 이어져 u시티 산업의 경쟁력 확보가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쏟아졌다.

 또 다른 대기업 u시티 담당 임원은 “정부가 이달 초 향후 5년간 4900억원을 투입해 u시티 산업을 대대적으로 육성하겠다고 천명해 놓고 뒤로는 공기업을 통해 저가 경쟁을 조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동탄 등 초기에 구축한 u시티가 국민편의 효과가 낮다는 비판을 받아와 신기술이나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 시급한데 저가 낙찰 때는 엄두도 못낼 것”이라고 비판했다.

 행정안전부는 상반기 전자정부 지원 사업이 저가수주 경쟁으로 품질이 크게 떨어진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사업의 경우 가격점수를 20%에서 10%로 낮춰 발주하는 입찰개선안을 발표했다. 이러한 이유로 업계는 복잡한 신기술과 서비스 일색의 u시티 사업에 오히려 가격 점수를 10% 높이는 토지주택공사의 처사를 이해할 수 없다는 시각이다.

 토지주택공사 관계자는 “가격 점수를 10% 올리는 방안을 청라지구 u시티 사업에 우선 적용하더라도 향후 모든 u시티 사업에 똑같이 적용할지 아직 정해진 바 없다”며 한발 물러섰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