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가 다음 달 시작되는 인천 청라지구 유비쿼터스(u)시티 본사업의 가격 평가 비중을 기존 20%에서 30%로 상향하기로 했다.
입찰 평가기준인 기술과 가격 중에서 가격 비중을 10%가량 높이는 대신 기술 비중을 약 10% 낮추겠다는 것이다. 공사 측의 논리는 낙찰가율을 떨어뜨려 예산을 절감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공사 측은 현재 89조원에 이르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재무구조 개선을 우선과제로 추진한다. 공사 측의 이 같은 논리가 가격 평가 비중 속에 녹아 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대목이다.
가격 점수가 10% 높아지면 낙찰가율이 산술적으로 10%가량 떨어져 부실 논란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업계의 수익성 악화도 한몫할 수밖에 없다.
청라지구는 특히 사업비만 해도 600억원가량으로 규모와 상징성에서 남다를 수밖에 없다. 사업자들은 내년부터 본격화하는 u시티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초기 사업에서 밑지고라도 따내겠다는 분위기다.
정부의 애초 u시티 육성 의지와도 정면 배치된다. 정부가 u시티 산업을 신성장동력과 수출 전략상품으로 육성하겠다고 공언해온 것을 상기하면 더욱 그렇다.
더 우려되는 것은 청라지구 u시티가 다른 모든 u시티 사업의 모범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공사 측은 일단 청라지구 외에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는 방침이지만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는 상황이다.
어쨌든 정부가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가 산하기관인 공사를 앞세워 기술보다 가격 평가만을 고집한다면 u시티의 미래는 자명하다. 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이제라도 애초 u시티 산업을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취지와 의욕을 살려 부실논란을 야기하는 가격 위주의 평가기준을 재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