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벤처센터` 설립 무산 위기

 대덕특구본부와 국방기술품질원이 공동으로 추진해 온 대덕특구 국방벤처센터 설립 계획이 센터 운영 주도권 다툼으로 무산 위기에 처했다.

 대덕특구본부는 2년여 전인 2007년 말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국방기술품질원(이하 기품원)과 ‘대덕특구 국방벤처센터’ 공동 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센터 설립을 추진해 왔다.

 당시 두 기관은 2008년까지 대덕특구 국방벤처센터를 설립해 방위산업의 핵심 부품소재 국산화는 물론이고 핵심기술을 개발·생산할 수 있는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품원이 향후 설립될 센터의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고, 대덕특구본부는 특구가 보유하고 있는 우수 인프라와 센터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두 기관은 협약을 체결한 지 2년이 다 돼가는데도 당초 계획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했고 갈등의 골만 깊어지고 있다.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은 센터 운영에 따른 주도권 다툼이다.

 국방벤처센터의 수장격인 센터장 인선을 놓고 기품원은 그동안 축적된 국방사업의 전문 지식과 센터 운영 노하우를 토대로 직접 기관 소속의 인사를 선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대덕특구본부는 대덕특구를 잘 알고 대덕특구를 위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인물을 발탁해 센터장을 선임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센터 주도권을 놓고 두 기관이 대립하는 형국이다.

 기품원은 만약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대덕특구본부와 현재 진행 중인 국방벤처센터 설립 계획을 백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기품원 국방벤처팀 김진식 박사는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며 “현재로서는 대덕특구본부와 진행 중인 사업을 접는 방안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덕특구본부는 센터장 선임 문제 외에도 대전시와 기품원 등 3자의 역할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아 센터 설립이 늦어지고 있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대덕특구본부 오태식 기술사업화센터장은 “여러 차례 협의를 했지만 의견 접근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센터 설립만이 궁극적인 대안은 아닌 만큼 국방기술 사업화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기관의 이런 미묘한 분위기 속에서 대전시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대전시는 센터 설립의 키를 기품원이 쥐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대덕특구본부가 만약 포기할 경우 시가 직접 나서서 기품원과 센터 설립 문제를 재논의하겠다며 적극적인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지난 6월부터 국방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추진해 온 대전시는 대덕특구 내 나노산업화용지 1만6500㎡ 부지에 국방벤처센터를 설립, 국방벤처 중소기업 육성 및 사업화를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대전시 박종수 과학기술산업과장은 “늦어도 내달 중에는 대덕특구본부와 기품원 간 문제가 결론이 날 것”이라며 “지역 국방산업 육성을 위해 센터 설립이 필요한 만큼 기품원과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