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로 노는` 지능형 교통시스템

국토부·경찰청, 통신 표준 `제각각`

 국토해양부와 경찰청이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한다는 동일한 목적으로 각각 추진 중인 교통정보 수집·제공 사업이 서로 다른 통신 표준 방식을 채택해 난개발이 우려됐다.

 3일 관련기관과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능형 교통체계(ITS) 수립의 일환으로 내년 전체 예산 신청액 700억원 중 상당부분을 투입할 교통정보자료수집시스템(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구축 사업을, 경찰청은 오는 2011년까지 수도권 22개 도시에 총 1791억원을 투입하는 UTIS(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두 사업은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통신 표준이 달라 교통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역부족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국토부의 ATMS 사업은 하이패스 단말기로 차량 교통정보를 수집·배포한다. 단거리 전용통신(DSRC) 방식으로 교통 정보가 이동한다.

 경찰청이 추진하는 UTIS 사업은 무선기지국, 차량에 탑재되는 전용단말기, 내비게이션 세 가지로 구성되며 무선랜으로 교통 정보가 이동한다.

 두 사업은 모두 차량의 동선을 DB화해 전체 도로상황을 파악한다. 많은 차량의 동선 DB가 확보될수록 교통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두 사업이 다른 통신 방식을 적용하면서 연동이 불가능해 정확한 교통정보를 확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국토부는 이미 민간사업자를 중심으로 320만개가량이 도입된 하이패스를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 활용한다. 반면에 경찰청은 전국 지자체에 예산을 배정함으로써 지자체는 전용 단말기를 직접 구입해 택시 등 대중교통 운전자를 중심으로 배포했다.

 UTIS는 유지·보수 문제와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서울에서 택시를 운전하는 김모씨(남·47)는 “경찰청에서 준 단말기가 고장이 났는데 수리할 곳이 마땅치 않아 아예 기계를 끄고 다닌다”며 “개인 위치가 자동으로 노출되는 것을 꺼려 아예 끄고 다니는 운전자가 적지 않다”고 귀띔했다. UTIS 전용 단말기는 관 주도로 배포돼 이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토부의 ATMS 사업과 UTIS 사업이 겹치지만 시너지를 내지 못한다는 점을 파악, 국가 차원의 통신 표준을 제정하는 등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coolj@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