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의 미래는 온라인 뉴스 콘텐츠 유료화에 달렸고 이는 저작권 보호 대책 없이 불가능하다.”
지난 3일(현지 시각)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폐막한 제62차 세계신문협회(WAN) 총회의 마지막 순서로 진행된 ‘포털대응 전략 대토론회’에 모인 세계 각 신문의 편집인과 발행인들은 구글 등 포털에 의한 온라인뉴스 저작권 침해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개빈 오라일리 WAN-IFRA 회장은 “뉴스든 교육이든 엔터테인먼트든 ‘수익 보상’은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필수 요소”라며 “이는 저작권이 약 300년 전 만들어져 오늘까지 존속하고 있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신문사들이 생산한 온라인 뉴스의 주요 내용을 독자들에게 공짜로 보여주며 네티즌들을 끌어모은 뒤 이들을 상대로 한 광고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구글의 비즈니스 모델을 바꿔야 한다”면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구글이 저작권을 분명하게 인정하는 것, 그리고 신문사들이 독자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비드 드러먼드 구글 수석부사장은 구글이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으며 신문과의 협력에 관심이 많다며 “구글의 차별화된 검색 소프트웨어인 ‘뉴스 검색 크롤러’를 활용하면 신문은 콘텐츠가 구글 뉴스에서 이용되는 방식을 자신들이 원하는 대로 미리 설정, 제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