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IT 컨버전스’ 실행에 옮긴다

제약산업의 유통과 생산에 RFID(전자태그) 등 정보기술(IT)이 접목된다. 이를 통해 선진국에 비해 낙후된 우리 제약산업의 고비용 유통 구조를 개선하고, 품질 경쟁력까지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내년 1월중 이같은 방향의 ‘제약+IT 컨버전스 기본 계획’이 관련 부처 합동으로 수립되고, 3월에는 실행 계획도 만들어질 예정이다.

8일 지식경제부와 보건복지가족부,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과천 지경부 청사에서 제약산업의 국제적인 경쟁력 제고와 미래 수출 산업으로의 육성을 위한 ‘제약+IT 컨버전스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제1차 추진위원회를 공동 개최했다. 정부는 이번 TF를 통해 의약품 유통 및 생산 구조 개선 정책을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키로 했다. 내년 4월부터는 관련 예산화 작업도 진행된다.

제약+IT 컨버전스 기본·실행 계획은 ‘유통+IT’와 ‘생산+IT’ 등 2개 부문에 초점을 맞춰 짜여질 계획이다.  

낙후된 우리 제약산업의 유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선 RFID 등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의약품 유통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는 이번 방안을 추진할 경우 물류비용 3% 절감, 의약품 회수비용 2% 절감, 위변조 방지비용 2% 절감 등 매출액 대비 최소 7%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 국내 제약회사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10.3%에 불과해 연구개발 투자비중이 낮았다. 세계적인 메이저 제약회사의 영업이익률이 20%를 상회해 신약개발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국내 제약산업은 이익률이 높은 신약 제품군이 부족한데다 유통구조가 복잡하고 생산 공정의 품질관리가 수작업로 진행되는 등의 문제점도 노출했다. 선진국은 의약품의 90%가 전문 도매상을 통해 유통되는 반면 우리나라는 제약회사의 직거래(46.5%)와 도매거래(53.5%)로 분산 유통되고 있다. 또 의약품은 비싼 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조가 쉬워 가짜 의약품 거래가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돼 미국·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자식 의약품 이력추적 제도(e-Pedigree) 시행을 앞두고 있다.

조석 지경부 성장동력실장 겸 이번 추진위원장은 “제약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수출산업화를 위해 IT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며 “이는 다시 IT산업의 시장을 확대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