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녹색규제인 REACH 확산의 대응 해법을 찾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지식경제부와 환경부·중소기업청은 수출기업들에 강력한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EU와 중국·일본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제4차 REACH 대응 엑스포’를 18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의에서 개최한다.
REACH는 EU내에서 연간 1톤 이상 제조 또는 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을 유럽화학물질청(ECHA)에 등록하도록 하는 EU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로 연간 100톤 이상의 물질과 위해성이 높은 물질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평가를 하게 되며, 특정물질은 신고·허가·제한 대상이 된다.
EU의 REACH제도 시행 이후, 최근 중국·일본 등 주요 수출대상국에서도 자국 화학물질관리제도를 REACH와 유사한 형태로 개정·강화하는 상황이라 우리 기업의 발빠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엑스포에서는 일본 경제산업성과 중국 환경부의 정책실무자들이 참가해 올해 개정된 양국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와 향후 관리계획을 소개하고 우리 수출기업들의 궁금증을 직접 해소시켜 줄 예정이다.
또한 △제품 내에 REACH 신고제도의 대상물질 함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양식과 운영시스템 소개 △REACH 등록 시범사업소개 △국내 주요 컨설팅 업체와의 1:1 상담 등을 통해 참가 중소기업들의 REACH 대응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11월 REACH 대응 공동추진단 회의에서 지경부·환경부·중기청 등 관계부처와 연구기관·협회·경제단체와 컨설팅 기관 등은 2010년에도 우리 중소기업의 REACH 대응을 위한 구체적·체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결의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