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대통령 업무보고] 5% 경제성장·4100억달러 수출 `양손에 고삐`

 내년 중 국산 전기차 시제품 30대가 도로를 주행하는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2011년부터는 공공기관에 2000여대의 전기차가 보급돼 본격 운행된다.

 현재 세계 1위인 메모리반도체 분야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STT-MRAM의 원천기술 확보 및 시제품 개발이 산·학·연 공동으로 진행된다.

 이 같은 주력산업 강화를 통해 내년 경제성장률 5%, 수출 4100억달러와 무역수지 흑자 200억달러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21일 2010년 산업부문 정부 합동 업무보고회에서 지식경제부는 △5% 성장 △경제체질 강화 △품격 있는 대한민국이라는 3대 중점 추진 과제 아래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세부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5% 성장을 위해 지경부는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성장동력을 재충전하고 원전·항공 등 차세대 수출산업 육성은 물론이고 바이오·LED(발광다이오드) 등 신성장동력이 본격 확산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3대 주력산업으로 떠오른 디스플레이 분야에선 OLED 핵심장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개발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고, 5.5세대 OLED 증착 장비 개발 및 OLED조명 사업화에도 시동이 걸린다. 휴대폰산업의 대외 경쟁력 제고를 위해 스마트폰 활용 기반을 넓히기 위해 공공기관 스마트폰 보급 및 활용도 본격 추진된다.

 향후 5∼10년 뒤 우리 경제의 성장엔진이 될 신성장동력 사업은 내년에는 바이오·LED를 중심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면밀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동된다. 또 내년 중 ‘신성장동력 분야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신성장동력펀드 2000억원을 추가 조성, 투자협력 지원단 운영을 통해 이 분야 기술사업화를 지원키로 했다. 또 원전·항공·방위산업·플랜트 등 차세대 수출전략 산업은 높은 기술역량을 발판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고삐를 죈다는 방침이다.

 지경부는 기업이 중간층(미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대·중소기업 간 모듈화, 부품 공용화 공동 R&D 등 원가절감형 R&D를 확대 실시하고, 대대적인 생산성 향상을 추진키로 했다.

 개도국의 경제개발·신도시 건설에 따른 인프라 시장 확대 기회를 활용한 관광교류·교통정보시스템(ITS)·컨설팅 등 서비스 복합시스템 수출도 촉진한다. 특히 급속한 성장을 하는 중국시장의 경우 권역별 소비특성별로 정교한 진출전략을 수립하고, 중국시장 종합연구기관도 KOTRA 내에 설립한다.

 잠재성장률이 지속 하락하는 우리 경제의 문제를 진단하고 경제 체질개선을 위해 △R&D 혁신 △SW 생태계 재편 △글로벌 중소·중견기업 육성 △온실가스 감측 2020 마스터 플랜 △고용유인형 산업 육성도 추진한다.

 세계 속에서 우리나라가 품격 있는 국가가 되도록 G20 정상회의를 기업의 비즈니스 장으로 활용하고 상하이엑스포를 계기로 대대적인 수출 문화마케팅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 서민을 위해 에너지복지법 제정, 장애인 지원기술 R&D 확대, 소액서민보험 지원도 꾀하기로 했다.

  이진호·이경민기자 jho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