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세등등 `불법 스팸` 새해엔 꺾이려나

 개인별 휴대전화 스팸 수신 건수가 올해로 3년째 일 평균 약 0.46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새해엔 그 기록이 깨질 전망이다.

 정부와 기업이 개인사업자의 휴대폰 스팸 발송을 제지하는 강력한 예방 조치들을 잇따라 시행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30일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에 따르면 2010년 새해에 제조업체는 스팸차단 기능을 한층 강화한 휴대전화 단말기를 출시하고 이통사는 ‘지능형 스팸필터링 서비스’ 제공에 적극 참여하는 등 휴대전화 불법 스팸 단속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불법 스팸을 전송해 행정처분(과태료)이나 서비스 이용 제한을 받은 악성스패머(개인·법인) 정보를 이통사 등에 제공, 이들의 서비스 가입을 원천 차단하기로 했다.

 정부와 기업은 이를 통해 3년째 꺾이지 않는 개인별 휴대전화의 스팸 수신 건수를 대폭 낮출 계획이다.

 우선 단말기 제조 업체들은 내년 상반기 새롭게 출시하는 휴대 전화의 스팸차단 기능을 최대 20배 가량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휴대전화 단말기에 등록할 수 있는 스팸차단번호 개수를 현행 10∼20개에서 200개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휴대전화의 스팸 문자 등록 절차도 5단계에서 2단계로 줄였다.

 또한, LG텔레콤은 내년 1월, KT는 내년 4월 각각 ‘지능형 스팸필터링 서비스’를 처음 제공하기로 했다. 이 서비스는 신청장에 한해 문자메시지(SMS)의 발신·회신번호·본문내용·발송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스팸을 차단하는 무료 부가서비스이다. 그동안 SK텔레콤만 2007년 12월부터 207만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내년엔 KT와 LG텔레콤도 지능형 스팸필터링 서비스 대열에 참여하기로 했다.

 올해말 SK텔레콤·LG텔레콤에 이어 KT도 내년 1월 중 1인당 휴대 전화 개통 수를 제한하기로 했다. 명의대여에 의한 대포폰 개통을 억제하기 위해 취약 계층를 대상으로 개통 가능한 휴대전화 회선을 제한한다. 저신용자(7∼10등급) 2회선, 채무불이행자·금융질서문란행위자 1회선으로 제한한다.

 한국인터넷진흥원 노명선 팀장은 “제조 업체와 이통사와 협의해 이러한 스팸방지종합 대책을 마련, 새해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며 “휴대전화 개통과 문자 전송 단계에서 부터 불범 스팸을 사전 차단, 개인별 휴대전화 스팸 수신 건수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