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데일리]3조5000억 풀린다…`기회의 창`열어라

 ‘웰컴 투 녹색벤처’

 정부는 지난해 제2기 벤처기업 육성대책을 통해 2013년까지 1000개의 녹색전문 벤처기업을 발굴·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부터 2013년까지 매년 200∼300개의 녹색벤처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해야 가능한 만만치 않은 수치다. 중기청은 3조5000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해 녹색전문 벤처기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녹색기술 연구개발(R&D)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예비창업자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등 과감한 지원정책을 약속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참신한 기술로 무장한 녹색벤처시대가 열리고 있다.

 ◇녹색벤처 1000개 시대 열린다=정부가 다시 한번 벤처 창업붐 조성에 불을 지폈다. 10여년전 대한민국에 불었던 벤처열풍의 기회를 다시 맞은 셈이다. 정부는 이번에 일자리 창출과 녹색강국 실현을 위한 기술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위해 ‘녹색기술을 기반으로 한 벤처’라는 카드를 내밀었다.

 녹색산업을 새로운 국가동력으로 키워나가기 위해 주요 녹색기술 개발을 녹색벤처를 통해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벤처기업을 위한 펀드의 규모를 확대하고 R&D자금 또한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상용화 가능성이 크고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되는 부품·소재 50개 품목(태양광발전 7개, 풍력발전 11개 등)의 117개 기술을 유망 녹색분야로 지정하고, 관련 녹색벤처에 대해서는 R&D·사업화·판로 등 기업활동 전 분야에 걸친 지원을 펼치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에너지 고효율화기술 등 녹색상용화 기술에 대한 R&D 지원은 지난해 489억원이었던 것이 올해부터 2013년까지 2000억원 수준으로 확대되고 녹색산업 특수성을 감안한 R&D 선정 및 평가 시스템도 개편된다.

 R&D 성공 이후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 개발·신뢰성 인증·생산공정 설계 및 설비·장비개발 등에 소요되는 경비도 지원받을 수 있게 했다.

 대기업과 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조건으로 하는 녹색분야 구매조건부 R&D 지원규모와 과제를 확대해 안정적인 수요기반을 조성하는 방안 또한 마련했다.

 창업한지 3년 안에 고효율에너지기자재·에너지효율 1등급 제품 및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으로 확인을 받는 기업은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과세연도를 포함해 4년간 법인세·소득세의 50%를 감면받을 수 있게 된다.

 ◇녹색벤처 창업 지금이 호기=녹색벤처계의 빌 게이츠를 꿈꾸는 예비창업자들은 ‘아이디어 상업화 지원사업’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아이디어 상업화 지원사업’은 정부가 아이디어의 발굴에서부터 사업성 평가·시제품 제작, 시장개척에 이르기까지 창업의 전 과정을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잘만 활용하면 창업이 한결 쉬워지고 사업 성공률도 높일 수 있다. 교수·연구원·대학생 등의 기술창업을 지원하는 ‘예비기술창업자 육성사업’의 지원한도 또한 3500만원에서 올해부터 최대 5000만원으로 늘어난다.

 또 창업을 꿈꾸는 대학생의 경우 현금으로 납부해야 하는 창업비용이 5%로 줄어든다.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창업 초기 단계의 기업은 창업초기기업 육성자금과, 창업투자보조금을 활용할 수 있다. 예비창업자나 창업 7년 이내인 기업에 연간 최대 30억원까지 융자하는 창업초기기업육성자금은 1조1000억원 규모로 운영된다.

 지방에서 창업한 중소제조업체에 최대 15억원까지 지원하는 창업투자보조금은 2009년 673억원에서 2010년에는 1000억원으로 늘어나 창업기업의 자금난을 더는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녹색벤처에 실질적인 자금 유입돼야=펀드자금 운영 특성상 대부분의 투자자가 기업의 안정성을 보고 투자를 결정하기 때문에 신생기업에 대한 활발한 투자는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하소연이기도 하다. 때문에 녹색벤처에 대한 신용보증, 벤처캐피털의 초기 자금 지원, 여타 금융권의 투·융자 지원 등의 방안 등이 도입돼야 한다는 업계의 바람을 상당 수준까지 반영한다는 것이 정부의 생각이다.

 우선 정부는 2012년까지 3조5000억원의 지원 자금을 마련할 계획이다. 2005년부터 벤처 투자를 위해 운영되면서 현재 1조원 가까이 쌓여있는 모태펀드의 금액을 늘리고 여기에 민간펀드까지 힘을 보태게 된다. 또 신생창업 기업에 자금 수혈이 원활하도록 벤처캐피털과 기술보증기금의 연계도 시행된다.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 보증서를 담보로 벤처캐피털이 보증액의 2배 이상을 회사채에 투자할 수 있다. 기술보증기금에서 발행한 보증서를 통해 은행권의 대출은 물론 벤처캐피털의 투자까지 받을 수 있게 된다.

 최수규 중소기업청 창업벤처국장은 “그동안 벤처창업 붐의 모멘텀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녹색분야 기술이 그 한 축을 담당하게 됐다”면서 “보증연계형 투자를 2월부터 실시해 신생기업이나 녹색벤처의 자금난을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