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매칭 투자 지원 프로그램인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지식경제부와 중소기업청에 이어 환경부가 도입한다.
정부기관이 잇따라 채택하면서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은 범정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의 주요 형태로 자리를 잡을 전망이다. 벤처 투자가 환경 등 그린 분야로 확산될 전망이다.
25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올해 처음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 개발 지원사업을 벤처캐피털 투자와 연계해 지원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올해 이 사업에 100억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특정 기술을 개발하는 지정공모 이외 자유공모 분야에서는 투자 연계 형태로 추진한다. 친환경소재 및 제품 개발, 측정 분석장비 및 장치, 생태계 복원·관리, 환경친화적 폐기물 자원순환, 하·폐수처리 고도화 등이 대상 과제다.
투자연계형 사업은 정부와 민간(벤처캐피털)이 각각 기술 및 사업성을 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정부 R&D 지원사업 평가는 기술성 검증에만 머물러 사업성이 떨어지는 기술에도 자금을 지원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수익성을 우선시하는 벤처캐피털이 직접 검증에 참여함으로써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평가다.
윤문섭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이사는 “투자연계형 방식이 정부 R&D 지원 결과물을 사업화로 연결하는 데 적합한 모델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환경부 결정은 벤처캐피털 업계에 힘을 실어주는 동시에 벤처 자금이 환경 등 녹색(그린) 분야로까지 투자가 확대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전망이다.
박양우 한국부품소재투자기관협의회 부회장은 “환경부가 투자연계형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많은 투자기관이 환경산업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며 “민간 자본의 환경 분야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은 2000년 지경부 부품소재 기술개발사업에 처음 도입됐다. 이후 지경부의 산업 핵심기술 개발사업(2007년)과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사업(2008년), 중기청의 기술혁신 개발사업(2008년)으로 확산됐다. 정부의 기술성 심사를 통과한 벤처기업이 벤처캐피털로부터 투자를 유치했을 때만 매칭해 정부가 자금을 지원한다.
벤처캐피털의 투자가 신주발행 방식인 경우 정부로부터 두 배를 받으며, 전환사채 방식은 투자한 것과 동일한 자금을 지원받는다. 지경부는 이 투자방식을 통해 지난해까지 610개사를 선정해 지원했다. 정부가 9105억원을 출연하고 벤처캐피털 업계는 8953억원을 투자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