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은 유엔의 ‘국제 소형차 배출가스 공인 시험방법 표준화’ 연구를 미국·유럽연합(EU)·일본 등과 함께 공동으로 수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 연구의 총괄 기관은 유엔 산하 자동차 법규 표준화 기구(WP29)이며, 연구를 통해 개발된 표준 공인 시험방법은 각 국 정부 간의 논의를 거쳐 국제기술표준(GTR)으로 제정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하반기까지 총 연장 3만6000㎞의 도로 종류 별, 시간대 별 주행 패턴과 교통 상황을 측정할 예정이다. 각 국의 측정 결과가 취합되는 2011년에 공인 시험용 표준 주행 패턴을 개발할 계획이다.
공인 시험방법 표준화 연구는 표준 주행 패턴 개발과 표준 시험절차 개발의 두 부분으로 나눠 진행된다. 주행패턴은 각 국의 고유한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먼저 각 국의 도로 종류별, 시간대별 교통 상황을 측정하게 된다. 시험 절차는 각 국에서 사용하는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비교 분석 한 후 표준 시험절차 개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홍지형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장은 “현재 미국·EU·일본의 소형차 배출가스 공인 시험방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자동차 제작사는 수출 지역의 규정에 따라 각각 다른 사양의 자동차를 만들어야 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연구 결과로 얻어지는 표준화된 국제 소형차 배출가스 공인 시험방법은 자동차 개발과 생산 과정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서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자동차 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