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치료제 효과 획기적 개선 방법 개발

 현미경으로 확대된 제브라피쉬를 보고 있는 조경현 교수(뒤)와 연구원.
현미경으로 확대된 제브라피쉬를 보고 있는 조경현 교수(뒤)와 연구원.

암이나 심혈관질환, 에이즈 등 난치병 치료를 위한 생명공학의 총아로 각광받고 있는 유전자치료제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 성과가 국내 한 연구진에 의해 나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내 바이오시밀러 제약산업에 활용할 경우 국제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경현 영남대 교수(생명공학부)는 기존 유전자치료제의 전달효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유통가능성을 높임으로써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유전자치료제는 결손된 유전자 때문에 일어나는 각종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정상 유전자를 외부에서 공급해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외부의 유전자를 어떻게 세포 안으로 고효율로 전달하는 것이 치료의 관건이었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방법인데 실온에서 불안정하고 유통기간이 짧은데다 체내 혈액에서 유전자 전달능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걸림돌로 제기돼 왔다.

조 교수는 이번에 나노바이오기술을 이용, 인지질과 아포지단백질로 아데노바이러스를 포장함으로써 유전자 전달효율을 10배 이상 향상시키고, 안정성도 2배 이상 증가시키는 방법을 척추동물 모델을 통해 증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아데노바이러스뿐만 아니라 RNA 저해제, 플라스미드 DNA, 압타머 등 유전자치료제와 약물전달체의 전달효과 증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시밀러(특허가 만료된 약 가운데 단백질 합성물과 관련된 복제약) 제약산업의 발전에도 획기적인 전기가 될 전망이다.

조경현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암세포 살상효과뿐만 아니라 동맥경화, 노화모델로도 활용 가능한 유전자치료제 연구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노인성혈관질환연구센터와 지식경제부의 지원을 받아 지난 2007년부터 3년간 진행된 연구사업으로, 유전자치료분야의 SCI급 권위지인 ‘인간유전자 치료(Human Gene Therapy)’ 1월호에 게재됐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