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의 전생애를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환경부는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와 함께 핵심 유해화학물질을 대상으로 ‘화학물질 전생애 유통현황 조사’를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환경부는 조사를 통해 국내에서 유통되는 화학물질의 제조·수입에서부터 최종제품에 함유되는 단계까지 각 단계별 유통경로를 파악, 위해성평가 대상 제품의 우선순위 선정 근거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발암물질 목록 작성 및 관리 대책 마련 등 체계적인 화학물질관리 기반을 마련하는데도 사용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고유해성, 노출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조사 필요성이 높은 순서대로 벤젠·폼알데하이드·프탈레이트(DEHP) 및 수은화합물을 대상 물질로 선정했다. 또 이를 기준으로 상하위 공급망에 해당하는 총 3240개 사업장에 대한 2008년 취급량과 제품 용도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벤젠과 폼알데하이드는 다른 물질을 합성하는 원료로 사용된 반면, DEHP와 수은화합물은 다른 물질과 혼합돼 합성수지 등 최종제품을 제조하는 원료로 많이 이용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4개 물질 모두 화학업종에서 제조·수입됐으며 벤젠 및 폼알데하이드는 화학업종, 수은화합물은 전기·전자업종, DEHP는 자동차 및 플라스틱 업종에서 최종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윤 환경부 환경정책실 화학물질과 과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원료물질의 단계별 유통현황과 제품내 함유 경로를 파악했다”며 “향후 물질별 인체 노출현황 파악 등 위해성 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