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5분기 연속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갈아치웠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국내 18개 은행의 BIS 비율은 14.36%로 3개월 전보다 0.15%포인트 상승했다. 자기자본에서 후순위채 등 보완자본을 뺀 기본자본비율(Tier1)도 10.93%로 같은 기간 0.13%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작년 4분기 중 은행권 자기자본이 산업은행의 자산분할, 현금배당, 신종자본증권, 후순위채권 상환 등으로 7조1000억원 감소했으나 대출자산 축소, 농협의 내부등급법 승인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61조9000억원 감소하면서 BIS 비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2008년 9월 10.86%까지 떨어졌던 은행권 BIS 비율은 2008년 말 12.31%, 작년 3월 말 12.94%, 6월 말 13.74%, 9월 말 14.21%로 상승세를 이어왔다. 주로 보통주와 이익잉여금으로 구성되는 핵심기본자본(Core Tier1)이 늘어나는 등 국내 은행이 보유한 자기자본의 질적 구성도 개선됐다.
국내 은행의 핵심기본자본비율은 작년 말 10.01%로 3개월 전에 비해 0.12%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핵심기본자본비율이 10%를 초과하는 등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이 상당히 제고됐다”며 “앞으로도 국내 은행의 자본적정성 현황 및 유지계획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