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홈페이지 평가 `웹이용성` 등 추가

 행정안전부가 공공기관 웹 접근성 평가 방식을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 최근 발표한 ‘2009년 실태조사’ 평가 기준이 너무 공공기관에 유리하게 돼 있다는 전자신문 지적<3월 15일자 1면 보도>에 따른 보완 조치다.

 행안부 관계자는 16일 “정부의 평가 기준 가운데 웹 이용성 등 실질적인 웹접근성을 평가하는 항목이 빠져 있다는 지적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며 “올해 실시되는 실태조사에 이 같은 기준을 추가로 반영하는 방안을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행안부는 이와 함께 현재 공공기관 웹사이트 조사에 사용되는 7개 웹 페이지 수가 너무 적다는 비판을 받아들여 표본 수를 늘리는 방안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평가 이후 모니터링 활동도 강화한다. 웹 접근성이 떨어지는 콘텐츠 평가 시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했다가 평가가 끝나면 다시 서비스하는 행위도 집중 단속할 방침이다.

 행안부는 이에 앞서 2009년 공공기관 웹접근성 수준이 86.6점으로 전년보다 5.6점 높아졌다고 밝혔으나, 두 달 전 전자신문이 한국웹접근성인증위원회와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보다 점수가 최고 30점 이상 높아 ‘봐주기 평가’라는 지적을 받았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