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기준금리 인상이 3분기로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한경연은 16일 ‘신흥시장국의 경기회복 차별화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글로벌 경기 확장 모멘텀의 둔화,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한국은행 총재 교체 가능성 등의 영향으로 기준금리 인상이 늦춰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들은 경기 회복 속도가 느려 금리 인상이 4분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비해 중국과 인도, 브라질 등 신흥 시장국들은 빠른 경기 회복과 물가 불안 등으로 조만간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신흥국 경제의 공통 과제를 이해해 선진국과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환율 등 문제와 관련해 양측의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재연돼 신흥국에 미칠 영향에 대비해 거시경제 건전성 및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강화하고, 초저금리와 유동성 팽창에 따른 자산거품을 차단하기 위해 부동산 투기 대책과 은행 대출 규제, 재정 지출 축소 등의 출구 전략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